우리가 이미 갖고 있는 내부거래소의 강점 알아보기

글 작성일: 2025년 1월 28일 (화)


안녕하세요. 요거트 @yoghurty입니다!

안타깝지만,
스팀달러(SBD)가 업비트에서 2024년 12월 30일 거래 유의 종목으로 지정된 이 후
더 이상 스팀달러의 거래소 입금이 안되는 상태이고,
2025년 2월 12일 부로 업비트의 거래지원 종료 예정입니다.

하지만 잘 아시다시피
우리에게는 스팀 달러 거래가 가능한 내부 거래소internal market가 있습니다.

1.png

제가 생각할 때 스팀 내부거래소는 다양한 강점(장점)이 있습니다.

내부 거래소의 강점


저는 다음과 같이 우리 내부 거래소의 강점 5가지를 뽑아 보았습니다.

  • 거래소를 이용하기 위해 별도 회원 가입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우리 스팀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바로 거래가 가능합니다.
스팀아이디가 있으면 바로 사용가능한 우리 스티미언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물론, KYC 안해도 됩니다. ^^

  • 거래소 접근이 편리합니다.

거래소 사이트가 스팀잇 지갑사이트의 우측 상단 (삼선)메뉴에 바로 붙어 있어서 사용하기 편합니다.
클릭 한번으로 바로 내부 거래소로 이동 해서 거래 가능합니다.

2.png

내부 거래소 링크는 https://steemitwallet.com/market 입니다.

  • 거래 수수료가 없습니다.

거래 수수료가 없다는 점! 제가 볼때는 가장 큰 강점이자 장점 중 하나로 보입니다.
업비트, HTX 등 중앙화 거래소에서 스팀달러 거래할때 붙는 거래 수수료를 전혀 낼 필요가 없다는 것이죠. ^^

이는 모두 스팀잇 증인분들 덕분입니다. 스팀잇 증인 분들이 수수료 받지 않고 내부거래소 거래까지 가능하게 해주고 계시거든요. 증인 분들께 감사 말씀 드립니다. 💕

  • 이체 수수료가 없습니다.

업비트, HTX 거래소 등에서 스팀 달러를 스팀으로 교환하거나, 스팀을 스팀달러로 교환 후, 스팀 블록체인으로 가져오려고 하려면, 네트워크 이동에 따른 이체(?)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내부거래소를 이용하면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즉, 거래 후 스팀이나 스팀달러를 우리 스팀 지갑으로 옮길 필요가 없는데요. 이는 스팀/스팀달러가 바로 스팀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가 되기 때문에 입니다. ^^

  • 안전한 자산의 거래가 가능합니다.

내부거래소를 이용한다는 것은 사실상 p2p거래로 나와 상대방 간에 거래가 발생합니다.

스팀/스팀달러 등 나의 자산을 거래를 위해 굳이 제3자(예를 들면 중앙화된 거래소)에게 맡길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내 자산을 보관하고 있는 제3자가 해킹당하지 말아야 한다는 등의 걱정은 할 필요가 없는 것이죠. ^^

마무리


물론 현재 내부거래소에 대한 아쉬운 점들도 있습니다.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저는 일단 유동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 눈에 들어오는 데요…

장점을 살려서 지금의 내부거래소를 우리에게 필요한 거래소로 잘 살려서 사용해야 한다면,
아쉬운 점들은 함께 하나 하나 개선해 나가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거래수수료없고, 이체수수료없고, 별도 회원가입필요없고, 접근하기 편한, 제3자에게 자산을 맡길 필요없는 안전한 내부 거래소!

이미 우리가 갖고 있는
우리 모두의 훌륭한 자산,
스팀달러 거래가 가능한 내부 거래소의 장점이자 강점들을
스린이의 시각으로 그리고 매우(?) 주관적으로 확인해 보았습니다.

즐겁고 행복한 연휴 보내시기 바라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PS: 더 좋은 강점이 있을 것이고, 저는 강점으로 생각했지만,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혹시 스린이로써 제가 잘 못알고 작성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날카로운 지적 및 다양한 의견 댓글로 주시면 환영 합니다! ^^)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Vote weight boost from @jsup (+5.0%p)

내부거래소 장점을 꼼꼼히 분석하셨네요. 관심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잘 읽어 주시고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그렇군요. 알기 쉽게 설명해 주셨어요.

알기 쉽게 전달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고맙습니다. ^^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고맙습니다. ^^

내부거래소를 통한 스달 가격이 업비트와 비교해서 어떤지 궁금합니다.

내부거래소를 통한 스달 가격은 1.30일 현재 업비트( 1sbd = 6,528원) 보다 좋지 않습니다.

하지만, 업비트는 25.2.12일 부로 스달 거래지원 종료되고, 현재 업비트로 스달 입금이 안되어 신규 거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업비트와의 비교 보다는

스달 거래 가능한 HTX 거래소(https://www.htx.com/trade/sbd_usdt?type=spot)와 비교 해 볼 때,
1.30일 현재 HTX의 스달가격은 약 $0.96내부거래소의 스달 가격 $0.92 (steem/sbd = 0.2285, steem = 0.2113)보다 약간 높지만 거래 및 이체 수수료 등을 고려해보면 매우 차이는 아닌 것 같습니다. ^^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업비트가 아직은 가격이 높은데 곧 거래종료된다니 너무 슬프네요
아직 가지고 있는 스달 처분도 않했는데 ㅠㅠ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앞으로 투자와 경제에 관한 글은 https://steemit.com/trending/hive-124908 에 써주시면 자료를 모으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화이팅입니다.

@yoghurty the biggest problem is lack of liquidity in the internal exchange. No one can trade in internal exchange as the price difference is huge.

Good point.
I also think that one of the weaknesses of the internal exchange is the lack of liquidity.

As far as I know, there was a time when liquidity reward was paid to liquidity providers to ensure the smooth liquidity supply of the internal exchange. I don't know exactly, but for some reason, that policy of supporting liquidity providers did not continue.

However, if we pool our wisdom, I believe we can find a good way to provide liquidity to the internal exchange.
Thank you for your good comment.

Coin Marketplace

STEEM 0.17
TRX 0.23
JST 0.033
BTC 96136.80
ETH 2616.13
USDT 1.00
SBD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