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마인드
K-팝, K-푸드, K-드라마… 그리고 K-마인드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완화(MBSR,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의 뿌리는 한국의 선불교에 있다고 하는데요, 이로부터 발전한 'K-마인드'...
1970년대 초, MIT에서 분자생물학을 연구하던 존 카밧진은 삶에 지쳐 있었다. 그때 운명처럼 한 사람을 만났다. 보스턴 인근 세탁소에서 일하며 선(禪)을 전하던 한국의 숭산(崇山) 스님(1927~2004).
“You! Thinking no good! (너! 생각 안 좋아!)”
“Put it down. Just put it down. (내려놓아, 다만 내려놓아.)”
복잡한 현대인의 삶과 어려운 명상의 원리를 쉽게 접목하여, 정리한 ‘건강한 마음가짐 7원칙’에 대해 알아봅니다.
건강한 마음을 만드는 7가지 습관
1. 판단하지 말라 (Non-judging)
우리는 하루에도 수천 번 판단한다. 아침에 거울을 보고 “오늘 좀 피곤해 보이네”, 출근길에 “저 운전 왜 저래?”, 직장에서 “또 실수했어?”…
하지만 끊임없는 평가와 비교는 자신을 지치게 만든다. 명상은 ‘판단을 멈추는 연습’이다
2. 인내심을 가져라 (Patience)
일상에서 불안과 스트레스는 늘 급하게 결과를 얻으려는 데서 시작된다. 모든 것은 흐름이 있다. 급할수록 숨을 고르고, 기다리는 연습을 하라.
3. 초심자의 마음을 가져라 (Beginner’s Mind)
우리는 익숙한 것들을 ‘아는 것’으로 착각한다. 너무 익숙해서 새롭게 보지 않는다. 하지만 어린아이는 개미 한 마리도 신기하게 바라본다.
커피를 마실 때, 그 향을 처음 맡아보는 것처럼 느껴보라. 익숙한 사람을 만날 때, 새롭게 바라보라. 일상에서 느끼는 그런 경외감(awe) 속에서 삶은 훨씬 신선해진다.
4. 스스로를 믿어라 (Trust)
우리는 늘 남의 평가에 흔들린다. 내가 좋아하는 일이 있어도, “그거 해봐야 별거 안 돼”라는 말에 주저한다. 하지만 내 인생의 주인은 나다.
명상도 처음엔 서툴 수 있다. 하지만 꾸준히 하다 보면 어느 순간 변화가 찾아온다. ‘자기 신뢰’를 가져라.
5. 너무 애쓰지 말라 (Non-striving)
우리는 늘 무언가를 이루려 애쓴다. 더 좋은 직장, 더 높은 연봉, 더 좋은 관계….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너무 애쓸수록 오히려 길이 막힌다.
마음도 “비워야 해!”라고 애쓰면, 더 복잡해진다. 힘을 빼라.
6.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라 (Acceptance)
“이 일이 왜 이렇게 꼬이지?” “나는 왜 이 모양일까?”
우리는 현실을 거부하고 불평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낭비한다. 하지만 사실을 인정할 때 문제를 해결할 힘이 생긴다.
몸이 아플 때, “왜 아프지?”라고 저항하는 대신, “아프구나” 하고 받아들이면 훨씬 덜 힘들다.
7. 집착을 내려놓아라 (Letting Go)
우리는 좋은 것은 움켜쥐려 하고, 싫은 것은 밀어내려 한다. 하지만 마음챙김에서는 그저 흘러가게 둔다.
어느 날 하늘이 맑았다가, 다음 날 비가 오는 것처럼. 감정도, 사람도, 상황도 다 변한다. 비틀즈의 명곡 ‘Let it be(내버려 둬)’처럼, 그냥 흐르게 두라.
세상이 복잡할수록, 마음은 더 단순해져야 한다.
이 7가지 원칙을 기억하라.
판단을 멈추고,
조급해하지 않으며,
처음처럼 세상을 바라보고,
스스로를 신뢰하며,
힘을 빼고,
현실을 받아들이고,
집착을 내려놓을 것.
2025.3.26.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100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