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올드스톤의 코인이야기) Blockchainstudio님의 댓글에 대한 저의 생각

in #sct6 years ago (edited)

지금 저도 약간 고민이 되고 있긴 합니다. 변화가 너무 빨라 조금이라도 관심을 갖지 않으면 이해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나아가서는 이해하는 과정을 포기하게 만들어버리지요.

그런데, 제가 가장 중심을 잡고 있는 지론은 '원칙은 심플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면에서 스팀잇은 불편하게 잘지키는 것같습니다.

제가 이해한 스팀재단의 운영철학은 간단합니다. 목적은 소자본 콘테츠 생산자가 자신의 콘텐츠에 투자와 함께 인큐베이션을 해보라는 것입니다. 자신들은 장소만 대여해주고 삥뜯겠다는 것이지요.

Blocktivity나 스팀 통계에 관한 report를 보면 스팀유저들이 예전보다 더 액티브하게 활동하는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물론 스팀 유저들이 쪼그라들었지요. 그렇지만, 소자본 투자형 콘텐츠 생산자를 위한 플랫폼이라고 가정하다면 지금 회원수가 부정적이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주변에서 콘텐츠 생산자는 1%도 안되거든요. 그리고, 점차적으로 투자형 유저들이 늘어나는 것 같거든요. 예전에는 보팅받아 돈버니 그냥 들어오는 '여행자형 유저'였다면 말이지요. 그래야 정상인것도 같구요.

그런데 스팀엔진이나 SMT에 기대를 거시는 분들의 접근 관점이 '투기공동체'를 지향하는 느낌이 듭니다. 회원을 늘리기 위해 당근을 제공해주는 것인데, 나중에 스팀가격이 올라가면 발행된 토큰들도 더불어 상슬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것은 절대로 성공하기 힘들다고 생각하거든요. 물론 투기적인 변동성도 중요하지만 스팀화폐와 관련없는 외부인들에게 '가치(콘텐츠)'를 보여주고 평가받는 스팀 베이스 플랫폼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야 회원이 늘어나고 투자도 고려할수 있겠지요. 투기가 아닌 투자말입니다. 지금은 스팀 못빠져나가게 스팀락 걸고 내부에서 쿠폰을 늘려 가두리하는 느낌이듭니다. 물론 제가 잘못 이해한 것일수도 있지요. (대부분의포스팅이 기대수익율 위주로 설명하거든요. ) 그러나, 돈이 들어오는 것이 시세차익을 위한 투기라면 오래가기 힘들것 같습니다. 차라리 코인마켓에서 단타매매를 하는게 정신건강에 더 좋을지도 모르겠구요.

제가 느낀점은 SMT나 스팀엔진이나 우선순위는 콘텐츠 생산을 위한 노력이지 시세차익은 아닌것 같거든요. 그것이 부수적이 되어야 스팀기반 공동체가 롱런할거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조그만 목돈을 여기에 더 투입할지 약간 주저하고 있습니다.

Sort:  

소자본 투자형 콘텐츠 생산자를 위한 플랫폼으로 스팀잇 커뮤니티를 규정하는 것이 매우 의미있는 듯 합니다. 사실 저도 그렇게 생각하고 스팀에 투자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지식과 생각을 정리하는 것이 경제적 의미가 있다는 것이 매력이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뭔가 방향이 잡혀나가겠지요. 저도 SMT와 스팀엔진의 우선순서가 콘텐츠 생산이라는 점에 동의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9
TRX 0.27
JST 0.044
BTC 101747.77
ETH 3677.44
SBD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