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나는 왜 그 곳을 떠났나'의 4 번째 에피소드가 '스팀잇'이 아니길 희망합니다.

in #kr6 years ago (edited)

1월에 들어와서 그동안 지켜본 결과 이 시스템은 이제는 IMF조차 실패로 규정한 트리클다운(낙수효과)을 기본으로 하는 시스템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고래들에게 많은 권한을 준 이유는 스팀을 많이 팔기를 원하기 때문이고 그것은 SMT를 만드는 이유와 같죠. 스팀잇은 창작가를 얼마나 끌어올 것인가가 아니라 그들이 이곳에 와서 얼마나 스팀을 사게 할 것인가?에 더 관심이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100일전 대세글에서 본 사람들이 오늘도 대세글을 장식하고 있고 스팀을 사지 않은 많은 창작가들은 그 반대편에서 고래의 선택을 받지 않으면 1달러도 찍히기 힘든 글을 올리며 피라미드 아래를 지탱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기본 철학인 탈중앙화, 분산화는 각각의 주소에는 동일한 정보와 책임을 가진다는 의미가 있지만 그 부산물인 토큰에 의해 특정 사람들을 중심으로 중앙화를 이루는 것을 보고 모순적인 생각이 들더라구요.

크게 어려운 것도 아닙니다. 단순히 가격이 아닌 보팅수에 의해 대새글에 진입할 수 있게 만들면 해결되는 부분이죠. 셀봇, 보팅봇, 펀딩이 논란이 될 이유도 적어집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스팀을 많이 파는 것이 스팀잇의 궁국의 목표일 수 밖에 없거든요. 스팀이 많이 팔리지 않으면 이 커뮤니티는 다단계 개념에서 끝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그것은 철학의 차이입니다.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기회를 분배해 생태계를 발전시키는 것이 더 많은 스팀을 팔게 할 것인지? 아니면 지금과 같은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이 더 많은 스팀을 팔게 할 것인지는 철학의 차이라는 것이죠.

저도 @madefromreality님과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고 따로 스팀잇에 대해 낙수효과 개념으로 분석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 글이 큰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MMORPG로 빗댄 것은 이해하기 쉬운 개념이었습니다.

덧붙여 저는 언리얼 엔진 4 유저입니다. 몇몇 게임 회사에게만 수십억에 팔던 게임 엔진을 모든 사람에게 무료화 하면서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생생하게 지켜봤기 때문에 이런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회사의 이익의 측면에서 단순히 철학 하나를 바꿨지만 이전 보다 더 풍성한 생태계를 만들었고 그로 인해 더 많은 수익을 냈거든요.

Sort:  

현재의 스팀잇 구조를 낙수효과로 설명하신 덕분에 이해하기가 더 쉽네요. 말씀하신대로 현재의 구조는 단순히 많은 사람들이 스팀/스팀달러 채굴에 머물게 하는 시스템에 불과하다고 느끼게 됩니다.
결국 글의 가치에 상관없이 분배가 가능하다 보니 스팀잇이 처음 내세웠던 가치는 없어지고 만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설명하신 부분에 전적으로 동의하고요
낙수효과 개념으로 어떻게 분석하실지 기대가 되네요
언리얼 4 유저라니 대단하시네요. 맞습니다. 언리얼4가 계속 라이센스 비용에 묶여 있었다면 다른 개방된 엔진들에게 경쟁이 되지 않았겠죠.

Coin Marketplace

STEEM 0.21
TRX 0.20
JST 0.034
BTC 90479.14
ETH 3094.57
USDT 1.00
SBD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