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bymaker]Steemit은 어디로 갈 것인가?

in #kr7 years ago (edited)

steem-feature3-776x415.jpg

요즘 스티밋에는 어뷰징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증인은 증인대로 고래는 고래대로 할 말이 많은 듯하다.

하지만 필자는 이러한 논란의 중심에서 좀 비껴 서있고자 한다. 왜냐하면 필자의 시각으로는 지금 스티밋의 형편에서는 어뷰징이 별로 중요한 문제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남들이 보기에는 마치 엄청난 잔칫상을 두고 다투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별로 먹을게 없는 소문난 잔치가 되기 십상이다.

스팀의 가격이 추락해서 그런거냐고? 아니다. 스팀이 스티밋의 주식이든 암호화폐이든 뭐든 간에 가격의 등락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스팀만을 놓고 10만원이 적정가격이네 지금 가격은 저평가 되었네 하는 것은 무의미해 보인다. 하지만 스티밋이 계속 이런식으로 가다가는 스팀의 가격이 정말 무의미할 수준으로 떨어질지도 몰라 매우 우려스럽다.

그러면 스티밋의 가치는 무엇으로 결정될까? 그것은 스티밋에 들어오는 가입자 수 또는 사용하는 사람의 숫자이다. One Hundred Percent!!! 스티밋이 적어도 SNS라면 말이다.

SNS의 사용자 수는 어떻게 늘어나는가? SNS를 구성하는 것은 컨텐츠 생산자와 소비자일 것이다. 그렇다면 생산자가 많을까 아니면 소비자가 많을까? 말할 것도 없이 아무것도 만들어내지 않고 소비만 하는 소비자가 훨~씬 더 많다. YouTube를 예를 들어보자. 가입자수 약 13억명(월간 순방문자 약 10억명)-Jun 28, 2017 현재. 이 중에 생산자가 얼마나 된다고 보는가? 아무것도 만들어내지 않고 소비만 하는 소비자들 때문에 생산자가 생기는 것이다. 필자 역시 인터넷에서 접하는 정보의 2/3를 YouTube를 통해서 얻지만 단 한건도 동영상 YouTube에 올린 적이 없다.

그러면 스티밋은 어떤가? 아마도 가입자 수의 대부분은 컨텐츠를 만들어서 수입을 얻고자하는 생산자일 것이다. 생산자가 많은 것이 나쁘다는 얘기가 아니다. 소비자가 충분히 늘어날 만큼 컨텐츠가 없고 그나마 있는 컨텐츠도 제대로 소비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 더 큰 문제다.

스티밋에 올린 글이 읽히려면 누군가 나를 팔로우해주거나 리스팀을 해 주어야 한다. 필자가 보기엔 Trend New Hot Promoted 같은 분류는 아무런 쓸모가 없는 것들이다. 아무리 인기가 많아도 내 관심 분야가 아닌 포스팅을 읽을 리가 없다. 게다가 하루에 수백개, 수천개가 올라오는데 무슨 수로 골라서 읽는단 말인가? 어떤 포스팅에서 대관령 양떼와 같다는 표현을 본 적이 있다. 참으로 적확한 표현이다. Tag도 마찬가지이다. 원래 Tag란 동영상과 같이 메타 정보를 필요로 하는 컨텐츠에 붙여서 컨텐츠를 분류하기 편하게 만든 것이다. 스티밋과 같은 블로그형 SNS에 그런게 왜 필요한가? 포스팅 내용을 직접 검색하면 되는데!? 특히 kr이란 태그는 정말 웃기지 않은가? 무엇을 위해 만든 것인지 참으로 알 수가 없다.

네이버와 같은 포털 사이트에서 이름을 날리던 파워블로거들이 스티밋의 매력에 이끌려 많이 유입된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그들이 스티밋에 올린 글들을 찾기가 어렵다. 왜 그럴까? 천만 팔로워를 거느리던 그들도 여기선 비기너여서 피라미들의 보우팅을 수백개 받아봐야 $1~5이기 때문에 고래에게 읍소하느니 그냥 이 바닥을 떠나버리는 것이다.

YouTube라고 다르나? 매우 다르다! YouTube에는 맞춤 동영상이라는 것이 있다. 필자가 YouTube에서 찾아본 동영상의 종류와 분야를 분석해서 필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동영상을 추천해 주는 것이다. 실제로 필자가 YouTube에서 보는 동영상의 절반 이상이 이 맞춤 동영상이다.

스티밋에 이러한 기능이 있나? 비슷한 것도 없다. 게다가 포털 사이트처럼 카테고리별로 분류도 해놓지 않는데 어떻게 내가 필요로 하는 포스팅을 찾는단 말인가? 이렇게 구린 환경을 갖춘 스티밋에서 생산자는 7일 이내에 자신의 포스팅을 팔아야 한다. 모든 것이 보상과 관련된 이 세계에서는 7일이 지난 포스팅에 대해서는 잘 읽으려고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왜? 큐레이션 보상을 못 받으니까!

블록체인이 마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만능 열쇠인 것처럼 광고하지만 실상 소비자 입장에서는 그것이 블록체인이건 탈중앙화이건 별 관심이 없다. 내가 원하는 컨텐츠가 많으면 다시 들어오고 없으면 떠나는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볼 때 YouTube는 가장 오래남을 SNS일 것이다.

답답한 마음에 또 얘기가 길어졌다. 마지막으로 파운더들과 직접 소통이 가능한 증인들에게 요청한다.

스티밋을 Giver가 아닌 Taker 위주의 플랫폼으로 만들어 달라!

아래는 필자가 가입한지 얼마되지 않은 시점에 올린 포스팅입니다. 그때에 비해 스티밋이 별로 달라지지 않은 것 같아 안타깝네요.

Steem에 대한 이해와 Steem 발전을 위한 제언

Sort:  

태그가 아닌 카테고리를 만들어줬으면 좋겠어요. 7일후 글이 박제가 되어버리는 것도 좀 그렇고..

게다가 블로그인줄 알고 들어왔더니 SNS여서, 그럼 SNS 활동이라도 잘해보자 라고 생각했더니 글을 많이 올리면 안된다네요. 저는 돈을 안줘도 포스팅을 많이 하는 타입이거든요. 근데 길고 내용있는 글이나 보기 좋은 사진, 그림을 많이 올려도 안된다고 하니,

이 모든 제약이 스티밋의 발전을 가로막을것 같습니다.

게다가 저는 순전히 타인을 위해 보팅을 많이 해야겠네라고 생각했는데(아직도 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보팅도 많이 하면 안된다네요.

......................뭐 이런 시스템인지 전혀 생각도 못했습니다.

그냥 평범한 블로그나 SNS처럼 쓰고 싶은 글 많이 쓰고 공감 많이 받고 그에 대해서 천천히 적은 양의 보상이라도 장기적으로 쌓아갈수 있으면 그게 더 좋겠어요.

장기적으론 사용자끼리가 아닌 시스템이 보상을 주는 방식으로 바꾸는게 더 나을지도요..

글 많이 쓰셔도 됩니다
너무 부담갖지 마시고 활동하시기 바랍니다^^

정말 듣고 보니 그러하네요.. ㅎㅎ
제약이 많군요

그렇죠. 소비자들이 스팀잇에 가입할 이유가 없죠. 보우팅 못해도 그냥 눈팅만 해도 컨텐츠를 소비할 수 있으니까요. 스팀잇의 작지않은 문제입니다. 그 밖에 많은 생각들이 납니다만 생략하고 팔로우하고 가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스팀잇 여기저기 구경다니며 제 소개도 짧게 하고 있습니다.
'터보힘준' 유머(인'터'넷에서 찾아'보'기 '힘'든 수'준'있는 유머)와
인성교육칼럼을 게재하고 있습니다.
인터넷3대 구경거리는 미인, 동물, 유머라고 합니다.
제 창작 품위유머도 한 번 구경 오십시요 @isson99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사이트가 되어야 하는게 먼저내요!!
가입자 1천만은 언제 되려나

스팀잇 내에서 검색기능이 강화되어야하고
진짜 대세글 인기글 홍보글은 왜 있는지 모르겠네요

뉴비들도 보팅시 0.00 값어치의 투표권을 갖는게아니라 5회~10회 0.01정도의 값을 줄 수있는 투표권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올려주신글 정말 공감 많이됩니다. 뭔가 우리끼리만 즐기는 블로그처럼 느껴지는... 자신의 트랜드에 맞는 포스팅들이 보였으면 좋겠네요 유투브처럼

그렇군요..
스팀잇은 거의 생산자라고 보면 되네요...
소비자가 원하는 생산품이 있어야 하겠지요...^^*

아직은 생산자가 소비하는 그런 구조네요...ㅠㅠ
유튜브같은 그런날이 오겠죠...^^*

그렇다면 맞춤글을 검색해서 제시해 주는 기능을 만들면 사용자가 늘어날 수 있겠군요.

구구절절 맞는말씀 이십니다
저도 풀봇과 리스팀으로
동일한 심정이라는 것을 전달하고 싶습니다

많은 부분 공감합니다. 그래서 저도 예전에 보상액을 구독자 중심으로 재편하자는 포스팅을 한 적이 있거든요. 글을 쓰는 사람은 많은데 읽는 이가 없으면 도루묵이잖아요.

그랬더니 구독자 보상은 어뷰징이 더 심할 거라고 ㅠㅠ

혁신이 필요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ㅠㅜ 팔로우합니다.

루비님 글을 읽으니
속이 시원해 지는것 같습니다

먹을꺼리 없는것 갖고 다투지말고
가입자수를 늘리고 활성화 할수 있는 캠페인 같은걸 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일주일 이내에 포스팅을
팔아야 한다는 부분에서 빵 터졌답니다
표현도 어쩜 ^^

즐건 하루 되세요

Coin Marketplace

STEEM 0.22
TRX 0.26
JST 0.040
BTC 98454.72
ETH 3466.95
USDT 1.00
SBD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