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가치관을 현실화 한 스팀잇의 창시자 댄 라리머(Dan Larimer)(Part1: 댄 라리머의 시작 BitShares)

in #kr7 years ago (edited)

1_PsZXk_uEgdqEy5CsikksKQ.jpeg

안녕하세요! @rothbardianism 입니다! 어제 저의 게시글에 댓글을 달아주신 @ysjin90 님께서 '댄이 자신의 가치관인 오스트리아 학파 이론을 얼마나 잘 담아냈는지.' 궁금해 하셨고, 이는 사실 오스트리아 학파인 저를 포함한 스팀잇을 이용하시는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내용일 것이라고도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어제 오늘 저는 댄 라리머의 블로그와 그의 첫 암호화폐인 비트셰어(Bitshare)그리고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스팀잇(Steemit)의 백서를 읽어보며 그의 사상(Austrian school of economics)과 그의 창조물들이 얼마나 닮아있는지에 대해서 공부를 하게 되었습니다.

우선 댄 라이머의 블로그 글 왜 내가 오스트리아 학파가 되었는가(Why I am an Austrian Economist)을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As far as I can tell BitShares is the only system that explicitly tries to be fully consistent with Austrian economics and the principles of voluntary trade. It is the only system designed around Austrian economic principles rather than economic math. BitShares was the first project to provide the company metaphor for understanding both the value of the coins, the cost of mining, and the impact of and morality of dilution.

여러분들의 편의를 위해서 제가 해석을 해보겠습니다:

내가 아는 한 비트셰어만이 유일하게 오스트리언 경제학과 자발적 교환의 원칙들을 이루어 내기 위해 노력했다. 비트셰어만이 수학 대신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이 추구하는 '원칙들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비트셰어는 코인의 가치, 채굴 비용, 그리고 희석화의 도덕성과 결과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처음으로 '회사의 비유'를 제공했다.

사실 이렇게 봐서는 비트셰어가 도대체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오스트리아 학파의 정설을 적용했는지 이해하기가 부족합니다. 그래서 비트셰어에 대해서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의 또 다른 글 은행으로써의 비트셰어- 자율분산기업의 기원(BitShares as a Bank- The Origin of DAC)을 읽어봤습니다:

I used an analogy that described BitShares as a crypto-equity in a decentralized bank and exchange called BitShares. The shareholders of the bank are those who own bitshares(BTS). I then went on to explain how this decentralized bank can create dollars just like their centralized counterparts.

간단하게 번역을 해보겠습니다(여러분의 시간은 소중하니까요!):

내가 아버지에게 BitShares 에 대해서 설명할 때, 비트셰어라는 암호화폐를 '비트셰어'라는 탈-중앙화 은행 및 거래소의 암호자본(crypto-equity)로 비유했다. 비트셰어의 주주들은 비트셰어 화폐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이후에 나는 어떻게 탈-중앙화 은행이 중앙은행처럼 화폐들을 생산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설명했다.

아하! 댄 라리머가 처음으로 고안해 낸 BitShares는 일종의 민간 주조 화폐를 생산하는 탈-중앙화 은행이군요. 사실 놀라운 것은 댄 라리머가 고안해낸 자율분산은행(Decentralized Autonomous Bank)은 민간 주조 화폐를 주장했던 라스바드나 하이에크의 생각보다 한 발 더 나아간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라스바드나 하이에크가 주장했던 민간은행의 경우, 그 은행의 주주들은 예전의 방식처럼 은행의 '주식'을 사야지만 가능한 시스템 이었습니다. 즉, 라스바드나 하이에크가 주장한 '화폐를 발행하는 민간은행'은 본래 은행들과 같지만 지금처럼 중앙은행의 화폐 생산 독점을 금지하고 민간이 소유하고 있는 회사도 자유롭게 화폐를 발행할 수 있게 만드는 것 이었습니다.

하지만 라리머가 비트셰어를 설명한 부분을 자세히 보시면, 라리머는 단순히 화폐 발행의 주체를 '사유화(Privatization)'하자는 것이 아닙니다. 사유화는 사유화인데, 그 은행의 암호화폐(BTS)를 들고 있는 사람들 모두가 일정한 권한을 가지는 방식입니다. 사실 저는 오스트리아 학파인데도 라리머의 이러한 시도는 놀라울 수 밖에 없는데요.

저 같이 '민간이 주조하는 화폐'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가장 큰 문제점을 해결해야 합니다. 그것은 '과연 민간은행이 중앙은행과 어떻게 다를 것인가.' 에 대한 문제였습니다. 만약에 화폐를 발행하는 민간은행도 해당 은행의 주식을 많이 보유한 '큰 손'들이 그 발행량에 대한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다면, 사실 중앙은행과 다를바가 없다는 반박 의견들이 많았습니다. 결국 민간은행도, 특정 소수에 의해서 움직이다 보니, 온전히 믿을 수 없다는 것이었죠.

그런데 만약에 화폐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이 주주가 되는, 자율분산은행(Decentralized Autonomous Bank)이 화폐를 주조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지게 됩니다. 결국 민간은행이 주조하더라도 생기는 '신뢰의 문제'를 블록체인 기술로 극복한 것이 바로 BitShares이고, 댄 라리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자율분산은행이 일반 중앙은행과 가장 다른 점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대출을 할 때 인데요.

만약에 여러분이 집을 사기 위해서 중앙은행에 가서 대출을 받는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그러면 은행은 여러분이 대출받은 금액을 반드시 갚겠다는 믿음을 담보삼아 돈을 새로 뽑아내서 여러분들께 돈을 대출해줍니다(왜냐하면 준비자금이 없으니까요). 이 경우엔 여러분이 사고자 하는 집이 '담보'가 됩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약속한 금액을 갚지 못했을 때 그 집에 대한 '담보권을 행사'하게 됩니다.

그런데 BitShares 같은 자율분산은행에서 돈을 빌리려고 한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이러한 경우엔 일단 돈을 빌려줄 사람을 찾고, BitShares(BTS) 암호화폐를 담보삼아 달러를 빌려주게 됩니다. 그리고 담보 대비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도 기존 은행들은 80%인 반면에 비트셰어에선 30%정도 입니다.

전자에서의 달러는 어떠한 가치도 없이 시장에 유통된 달러입니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엔 BitShares(BTS)라는 엄연한 가치가 있는 자산을 기반으로 시장에 유통된 달러죠. 사람들은 어떤 달러를 더 신뢰할까요?

어떠한 가치에 기반하지 않는 달러는 말 그대로 인플레이션도 야기하고, 시장의 버블도 야기해서 경제를 혼란속으로 몰아넣지만. BitShares 같이 완벽한 어떠한 자산을 기반으로 달러를 묶어놓을 땐, 은행이 인위적으로 화폐를 더 생산하지도 못하고 부동산 버블 사태 때 처럼 은행이 신용도가 없는 사람에게 막무가내로 대출을 해주지도 않을겁니다.

댄의 말을 좀 더 들어보도록 할게요:

BitUSD is the equivalent of the old bank notes that promised to pay $1 worth of value on demand. In the case of the old bank notes, this value was denominated in gold or silver. In the case of the BitShares this value is $1 worth of equity, aka BTS.

해석을 해보면:

BitUSD(BitShares 에서 발행하는 달러)는 요구시 1달러 만큼의 가치를 하는 자산을 주겠다는 증서와 같다. 옛날 은행의 증서의 경우엔, 이 가치는 금 또는 은을 기반으로 했다(양본위제). 그리고 비트세어의 경우엔 이 가치가 1달러의 가치를 하는 자산인 BitShares 암호화폐가 된다.

완벽하게 어떠한 자산을 바탕으로, 달러의 가치를 보증해주는 시스템을 마련한 것입니다. 제가 저번에 오스트리아 학파의 화폐이론에 대해 설명할 때 미제스 선생님은 정부가 더 이상 종이쪼가리의 무한한 생산을 중단하고 사람들(즉, 시장 참여자들)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상품통화(Commodity Currency)를 지지해야 한다고 주장하셨다고 했는데요. 이 BitShares 시스템이 바로 '상품통화(Commodity Currency)'라고 볼 수 있는 것이죠.

BitShares 본위제라고 봐도 무방한 시스템인 것입니다. 사실 이 BitShares는 댄 라리머가 자신의 사상을 현실화 시키는 가장 첫 단계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댄 라리머의 Steem과 EOS에서 그의 어떤 철학을 엿볼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밌게 읽어주셨다면 upvote! 잊지 마시고,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나 그랬듯 댓글 달아주세요 :) (궁금하신 점이 없으셔도 댓글 다셔도 됩니다! ㅎㅎ)

오늘 금요일인데 한 주의 마무리 모두 즐겁게 하시고 저는 조만간 또 댄과 함께 찾아뵙겠습니다!

Sort:  

좋은 글 고맙습니다! ;)

이쪽으로 완전히 문외한이라가지고 한 번 읽고서는 이해 안 되는 부분이 많긴 하네요 그래도, 이해되는 부분만 봐도 꾸준히 읽고 싶어지는 글이에요!! 다 이해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계속 읽어볼게요~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 입문을 한 번 읽어보시면 제 글을 읽으시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도 이 시리즈가 끝나는대로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 이론을 차근차근 설명해볼까 합니다 ㅎㅎ

댄라리머의 글도 흥미롭지만 앞으로 포스팅 해 주실 경제학 이론이 너무도 기대됩니다^^

아무튼 스팀잇 하는 사람으로써 흥햇으면 합니다!.ㅎ

네 맞습니다 ㅎㅎ 저희가 돈 벌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 사람이잖아요! 응원해야죠 ㅎㅎ

오늘도 감사합니다. 즐겁고 행복한 글 읽기였습니다. 화폐나 경제 구조에 대한 제 이해가 조금씩 나아지고 있습니다. 중앙의 신뢰할만한(하지만 믿을 수 없을 때도 많은) 보증이 아니고 참여한 사람들의 합의가 신뢰의 기반이 된다는 말씀인 것 같군요.

그쵸. 지금 불환지폐의 가치를 보증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그냥 공중에서 찍어낸 것이라서.. 사실 화폐라는 건, 원래 시장 참여자들의 합의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었고. 그래왔었어요. 금과 은이 그렇게해서 화폐로 쓰인 것이었죠. 지금 중앙은행 시스템은 완전히 경제를 병들게 만들 뿐입니다.. 물론 케인지언은 아니라고 생각하겠지만요..

정말 흥미롭게 글 잘 읽었습니다. 암호화폐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하는 주장중엔 '정부가 보증하지 않기 때문에 위험하다'라고 하는데 전 지금까지 한번도 미국이나 한국이 공식적으로 달러나 원화를 보증한걸 본적이 없었거든요. 보증되는 것이 스팀잇처럼 창작의 가치든, 비트코인처럼 채굴비용이든, 적어도 그 누구도 보증하지 않는 공식화폐보단 머나먼 미래에는 좀더 안정적이지 않을까... 끄적여 봅니다.

100번 옳으신 말씀입니다. 사실 화폐의 보증은 시장 참여자의 합의입니다. 금은 무엇이 보증하는가? 시장 참여자가 가치있게 여긴다는 사실이 보증하는 것이죠. 그리고 그 금으로 달러를 보증해왔구요. 비트코인을 위시한 암호화폐들도 아마 그 자체로 자산이 될 거 같습니다. 몇 년 안에 말이지요. 늘 정성어린 댓글 감사합니다!

베네수엘라에서 명목화폐의 가치가 산산조각이 나는 것을 보면서 암호화폐의 미래는 밝다는걸 느꼈습니다. 좀더 달나라 같은 이야기를 해보자면, 2030년대부터 우주시대가 도입한다고 추측하고 있는데 다른 행성과 지구가 동시에 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암호화폐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행성에선 암호화폐로 변화한 달러를 쓸지, 아니면 탈중앙 암호화폐를 쓸지 궁금하지 않나요?

현재 은행의 지급준비율과 달리 본위제로 간다면 훨씬 더 안정적인 자산이 될것으로 보이네요. 이미 일부학자들은 은행의 화폐 발행에 대해서 경고를 한 상황이니 말입니다.
더불어 비트쉐어를 통한 거래가 점점 늘어가고 있다고 하네요. 특히 따거 형님들의 자본이 엄청나게요. 기대가 되는 코인이기도 합니다.
좋은 글 감사드리며 다음도 기대하겠습니다.
꾸벅~

맞습니다. 사실 케인지언 경제학은 2008년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극복한 것이 아니라는 의견도 많습니다.. 돈을 찍어내서 풀어내면 일시적으로 경제가 좋아보이는 환각증세야 생길지 몰라도...궁극적으론... 재앙이죠.. 비트셰어 풀 매수해야하는 각인가여 ㅎㅎ

매수가나요~~~~

오우 감사합니다! 언급까지 해주셔서 영광이네요~ 무조건 풀봇!!!
선리플 후정독갑니다

사실 이 글은 @ysjin90 님께서 다 해주신 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지요 ㅎㅎ 아이디어 감사합니다 :)

roth님 궁금한게 있어서 다시 읽어보러 왔는데 글이 완전 흥했네요~ 축하드려요~~

이게 다 좋은 아이디어를 제공해주신 @ysjin90님 덕분입니다!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댓글로 달아주세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 다음편도 기대됩니다 !

앗..! 내일 주말인데 다음편 쓰기위해 더 공부해야겠네요! ㅎㅎ

사실 SMT가 그런 역할을 맡으리라 봅니다. 프리세일에서 1만 달러라는 개념없는 값을 때린 XAP에 제가 포트폴리오 일부를 희생해서라도 참가한게 바로 이런 개념 때문입니다.

선생님. 실례가 안된다면 SMT에 대해서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아니면 선생님 글 중에 SMT에 대한 설명이 되어있는 글이 있는지요?

일전에 @clayop님의 후원으로 smt 백서 번역 프로젝트가 있었던 걸로 압니다. 검색하면 어디 나오지 싶어요

앗 감사합니다 선생님! 아, 그리고 여담이지만, 최근 사태로 인해 상심이 크시겠지만 녹 선생님글에 매력을 느끼는 사람들이 정말 많다는 것. 그리고 많이 배우려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 아셨으면 좋겠습니다!

와.. 스팀으로 하는 ICO같은 거네요...! 흥미롭습니다 더 알아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잘 읽고 갑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유익한 내용 공유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팔로우하고 업보트하고 갑니다.

아닙니다! 좋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맞팔로우 하겠습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18
TRX 0.23
JST 0.035
BTC 94313.10
ETH 3182.98
USDT 1.00
SBD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