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overnments of Myanmar and Bangladesh Should Immediately Stop Their Plan for Repatriating Rohingya Refugees (EN&KR)

in #kr6 years ago (edited)

The Governments of Myanmar and Bangladesh Should Immediately Stop Their Plan for Repatriating Rohingya Refugees

미얀마-방글라데시 정부는 로힝야 난민 강제송환 계획 중단하라


Myanmar and Bangladesh, after meetings in Dhaka, announced a bilateral agreement on October 30 to begin repatriating Rohingya refugees, who had fled to Bangladesh after persecution by Myanmar's military, as early as mid-November. Korean Civil Society in solidarity with Rohingyas is deeply concerned about the safety of the refugees, and urges both the governments of Myanmar and Bangladesh to immediately stop their plan of forced repatriation. Any repatriation process should be safe, voluntary and dignified. Before repatriation, there need to be discussions about the prosecution of those responsible for the massacre, recognition of the Rohingya as an ethnic minority of Myanmar, and the granting of citizenship.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first implement a mechanism that grants safety to the Rohingya before repatriation takes place. 


지난달 30일,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정부는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실무그룹 회의를 열어 미얀마 군부의 탄압을 피해 국경을 넘었던 미얀마 소수민족 로힝야족을 11월부터 본국으로 송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로힝야와 연대하는 한국시민사회모임은 난민들의 신변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가운데 이뤄지는 이번 송환에 깊이 우려하며, 미얀마, 방글라데시 양국 정부에 로힝야 난민에 대한 강제송환 계획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 로힝야 난민의 자발적이고 안전하며 존엄한 귀환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학살 책임자 처벌, 소수민족으로의 인정, 시민권 회복 등이 전제된 송환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무엇보다 로힝야들이 필요로하는 국제사회의 보호 메커니즘이 우선적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According to news reports, the Myanmar government will repatriate the “first batch” of 2,260 refugees in November, out of a total of 4,000 verified refugees. The number of Rohingya in refugee camps in Bangladesh has reached nearly 900,000. They fled their home country, Myanmar, as a result of indiscriminate mass killing, rap, and arson by the Myanmar military. They lost their family members and friends in front of their eyes, and are faced with great difficulty in their daily lives. 


언론 보도에 따르면, 미얀마 정부는 이번달 15일 미얀마 거주사실이 확인된 4천여 명의 로힝야 난민 가운데 1차로 2천 260명의 신병을 방글라데시로부터 넘겨받을 예정이다. 현재 방글라데시에는 미얀마 군부에 의한 무차별적인 집단살해, 강간, 방화 등으로 고향을 떠나 난민캠프에서 지내는 로힝야 난민의 수가 90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이들은 미얀마 군부에 의한 잔인한 학살로 눈 앞에서 가족과 친구들을 잃었고, 삶의 터전을 떠나 낯선 땅에서 하루하루를 힘들게 버티고 있다. 


The persecution of Rohingya has a long history. In Myanmar, a majority Buddhist nation, the Rohingya are referred to as "Bengali" and are treated as illegal residents. In 1978 and 1991, 200,000 and 250,000 Rohingya people respectively, were expelled to Bangladesh. Oppression of the Rohingya has been a systematic and institutionalized practice in Myanmar. The right to citizenship in Myanmar is denied to Rohingya, and their freedom of movement is extremely limited. For instance, in order to visit neighboring villages, they need to get permission from the public authority or pay a fee for traveling. Rohingya need the government's permission before getting married, and due to birth control policies Rohingya women are often vulnerable to unsafe abortion practices. The government severely restricts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 Rohingya and they are not allowed to work in public offices. In the 2015 Myanmar general elections, the first free elections held in 25 year, Rohingya were denied the right to vote or run for election. In 2016, Myanmar's military launched a crackdown in the country’s western provinces, in the name of fighting terrorism, which resulted in mass detentions, killings, torture, rape, arson and other crimes against civilians. In 2017, the military began “clearance operations” which saw ethnic cleansing leading to the deaths of thousands of people. The consistent persecution of Rohingya by the military for the past 40 years is simply incomprehensible. 


이들에 대한 박해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불교도가 주류인 미얀마 구성원 대부분은 로힝야를 ‘벵갈리’라고 부르며 불법체류자로 취급했고 1978년에 20만명, 1991년에는 25만명을 방글라데시로 강제추방했다. 로힝야에 대한 억압은 사회 구조적으로 고착화되어 로힝야의 시민권은 박탈되거나 부여되지 않았고, 이동의 자유는 심각하게 제한돼 인근지역 방문도 허가를 받거나 통행료 등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가능했다. 결혼도 관청의 허가를 받아야 가능했고, 산아제한 조치로 로힝야 여성들은 안전하지 않은 방식으로 낙태를 실행하는 위험한 상황에 놓였다. 교육과 생업의 기회를 박탈당했고, 공직에 진출할 수도 없었다. 2015년에는 선거권과 피선거권마저 박탈당했다. 여기에 더해 2016년 미얀마 군부는 경찰 초소를 공격한 로힝야 무장세력을 토벌한다는 명분으로 민간인에 대한 구타, 살인, 고문, 자의적 구금과 처벌, 집단강간, 방화, 재산약탈 등을 자행했다. 2017년에도 대규모 인종청소 작전을 통해 수만 명을 살해했다. 이렇듯 지난 40여년간 지속되어온 로힝야에 대한 박해는 가늠하기조차 어려운 수준이다. 


 Marzuki Darusman, chair of the UN Independent International Fact Finding Mission on Myanmar at the Security Council, described the persecution and killing of Rohingya as a "slow-burning genocide" as well as an "ongoing genocide”. Violence and killings are still taking place, with refugees continuing to cross the border into Bangladesh. There has been little change in the leadership of Myanmar's military that carried out the ethnic cleansing against Rohingya. On November 4, in Sittwe, the capital of Myanmar’s western state of Rakhine, Buddhist protesters held a rally opposing the repatriation of Rohingya. They opposed Rohingya residence in the state and demanded the establishment of more Buddhist towns in the region. With this backdrop it is unthinkable to repatriate Rohingya at present. The Myanmar government plans to accommodate the repatriated Rohingya in temporary camps, but has not announced how long the refugees would have to stay. Critics of the repatriation express a common concern that the temporary camps would end up becoming de-facto detention center. 


이러한 로힝야에 대한 박해와 학살은 한 연구 결과가 보여주듯 ‘천천히 진행되어 온 제노사이드’이자 유엔진상조사단(UN Independent International Fact Finding Mission on Myanmar)의 마르주키 다루스만(Marzuki Darusman) 단장이 유엔 안보리에서 밝힌 바와 같이 ‘여전히 진행중인 제노사이드’이다. 잔혹 행위는 계속되고 있고, 학살은 현재 진행형이다. 미얀마를 떠나 방글라데시로 향하는 난민의 행렬은 계속되고 있다. 로힝야 박멸을 주장하는 미얀마 군부의 리더십도 미얀마 대중의 견해도 바뀐 것은 없다. 현지 소식에 따르면 11월 4일, 라카인주 주도인 시트웨이에서는 로힝야 송환에 반대하는 불교도들의 시위가 진행되기도 하였다. 이들은 라카인주에 로힝야들이 거주하는 것을 반대하며 이 지역에 보다 많은 불교도 마을이 건설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로힝야에 대한 강제송환은 어불성설이다. 또한 미얀마 정부는 송환된 로힝야 난민을 임시캠프에 수용하겠다는 입장인데 이곳에 얼마나 머물러야 하는 지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임시캠프라고 하지만 사실상 강제수용소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송환을 반대하는 이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Whil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een clear in calling the persecution and killing of Rohingya by Myanmar's military a "war crime," a “crime against humanity” and "genocide," the civilian government of Myanmar, led by both the military and Aung San Suu Kyi, continue to deny their role, and are nonresponsive to requests to prosecute those responsible. To repatriate the Rohingya without any redress or commitment to improving safety, is to send them back to the site of genocide. This is a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non-refoulement, which bans the repatriation of people to a country where they will face persecution, torture, threat to life, or cruel and inhuman treatment. The governments of Myanmar and Bangladesh should abide by this international standard,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eeds to take action towards creating a mechanism for the protection of Rohingya. 


국제사회는 미얀마 군경에 의한 로힝야 박해와 학살을 ‘전쟁범죄’, ‘반인도주의적 범죄’, ‘제노사이드’라고 명백히 규정하였지만 미얀마 군과 아웅산 수치가 이끄는 민간정부는 여전히 책임을 부인하고 있고,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요구에도 침묵하고 있다. 이렇듯 학살에 대해 어떠한 반성도, 개선도 약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미얀마로 로힝야 난민들을 돌려보내는 것은 이들을 제노사이드, 킬링필드의 현장으로 다시 보내는 것에 다름 아니다. 또한 이는 박해, 고문, 생명의 위협, 속은 잔인하고 비정상적인 대우를 받을 위협에 처하는 국가로 송환되어서는 안된다는 강제송환금지의 원칙(principle of non-refoulement)을 위반하는 것이다.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정부는 송환에 대한 국제기준을 준수해야 하고, 국제사회는 로힝야를 보호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Chris Melzer, the UNHCR's senior external officer based in Bangladesh, openly voiced his concerns about the repatriation plan by stating that "the conditions in Rakhine state are not yet conducive for a return (of Rohingya) to Myanmar." Charles Santiago, of ASEAN Parliamentarians for Human Rights, also pleaded that for the Rohingya, who live under an "apartheid-like system," a plan that grants their safety and livelihood should be put in place first. It is apparent that any repatriated Rohingya would face a life in fear, haunted by the nightmare of mass killings. Repatriation, without deliberate consideration of the government's systematic practice of discrimination, persecution and grave human rights violations, must be halted. Rohingya, who have faced unimaginable persecution, must be allowed to return only through a safe, dignified, and voluntary process. In addition, on their return Rohingya must be given the right to citizenship which they have been so long denied. 


유엔난민기구 콕스바자르 외무담당국장 크리스 멜제르(Chris Melzer, the UNHCR’s senior external officer based in Cox’s Bazar, Bangladesh)는 “로힝야족의 주요 거주지였던 미얀마 서부 라카인주의 상황이 아직은 난민들의 귀환에 적절치 않다”며 송환에 대해 공개적으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인권을 위한 아세안 의원들(ASEAN Parliamentarians for Human Rights)’의 샤를 산티아고(Charles Santiago) 의장 역시 로힝야 송환에 반대하며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like system)와 같은 상황에 놓여있는 로힝야들의 안전과 생계를 보장할 수 있는 계획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강제 송환된 로힝야들은 학살의 악몽에 시달리며 두려움과 공포의 일상을 보낼 것이 분명하다. 로힝야에 대한 제도화된 차별, 박해, 혐오 및 심각한 인권침해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지 않은 채 진행되는 강제송환은 중단되어야 한다. 스스로를 ‘로힝야’라고 부를 권리마저 부인된, 가장 박해받고 있는 이들의 자발적이고 존엄하고 안전한 귀환이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그들이 원하는 바와 같이 1982년 박탈된 시민권은 다시 회복되어야 한다.  


 5 November 2018 (2018년 11월 5일)

로힝야와 연대하는 한국시민사회모임 


 The Korean Civil Society in Solidarity with Rohingyas

A-PAD Korea(에이팟코리아)

Advocates for Public Interest Law (APIL)(공익법센터 어필)

Asian Dignity Initiative(아시아인권평화디딤돌 아디)

Eco-Peace-Asia(생명평화아시아)

GongGam Human Rights Law Foundation(공익법인권법재단 공감)

Korean House for International Solidarity(국제민주연대)

Korean Solidarity for Overseas Community Organization (KOCO)(해외주민운동연대)

MINBYUN-Lawyers for a Democratic Society International Solidarity Committee(민변 국제연대위원회)

New Bodhisattva Network(신대승네트워크)

Order of Friars Minor(작은형제회)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참여연대)

Social and Labor Committee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실천불교전국승가회)

Truth Foundation(진실의힘)

Sort:  

jjm.jpeg
짱짱맨 호출에 응답하여 보팅하였습니다.

짱짱맨은 저자응원 프로그램입니다. 더 많은 저자 분들에게 더 큰 혜택을 드리고자 스파임대 스폰서를 받고 있습니다. 스폰서 참여방법과 짱짱맨 프로그램에 관해서는 이 글을 읽어 주세요. 기업형 예비증인 북이오(@bukio)가 짱짱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증인 보팅은 큰 힘이 됩니다. Vote for @bukio

Coin Marketplace

STEEM 0.28
TRX 0.26
JST 0.039
BTC 93746.24
ETH 3345.99
USDT 1.00
SBD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