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안하지만, '1만시간의 법칙'은 너한텐 아니야

in #kr7 years ago

1만시간 법칙이란?

'1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것은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1만 시간 이상의 의도적인 연습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는 이론이다. 2008년에 '아웃라이어'라는 책을 쓴 말콤 글래드웰에 의해 일반인들에게 유명해진 이론이다. 1만 시간이면 하루에 서너시간을 투자할 경우 대략 10년 정도가 소요되기 때문에 '10년 법칙'이라는 말로도 쓰인다. 1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것은 미국 콜로라도 대하교의 K.앤더스 에릭슨이 1993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처음 나왔다고 한다. 이를 말콤 글래드웰이 에릭슨의 연구를 요약하면서 유명해진 것이라고 한다.
다운로드.jpeg
말콤 글래드웰의 책 표지.
다운로드 (1).jpeg
이 빠마머리가 말콤 글래드웰이다.

하지만, 노력해도 안되는 게 있다.

나도 노력만 하면 전문가가 되고, 성공할 수 있을거라는 긍정적인 마음을 먹은 이들에게 믿고 싶지 않은 이야기를 해보고자 하는게 이번 포스팅의 주제이다.

1만 시간 훈련한다고 누구나 리오넬 메시, 크리스타아누 호날두가 될 수는 없다!

'스포츠 유전자(The Sports Gene)'의 저자인 데이비드 엡스타인은 '1만 시간의 법칙'이란게 실제로는 허상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자질'이 있는 인물이라면 짧은 시간에도 전문가가 될 수 있고, 그런게 아니라면 더 오랜 기간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만큼 각자의 자질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훈련을 실시해야 한다는게 그의 주장이다.
데이비드 앱스타인은 2004년 아테네올림픽 높이뛰기에서 금메달을 딴 스웨덴 선수 스테판 홀름으로 예를 들었다.
어려서부터 홀름은 2만 시간 이상을 훈련에 쏟아부었다. 하지만, 2007년 오사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그는 높이뛰기를 한 지 8개월밖에 안 된 바하마의 도널드 토머스 선수에게 패하고 말았다. 홀름이 토머스에게 패한 이유로 남보다 빠르게 배울 수 있는 유전자의 힘 면에서 홀름이 토머스에게 뒤진 것이라고 한다.
다운로드 (2).jpeg
이 사람이 스테판 홀름이다.

노력은 성과의 12%에 지나지 않는다.

다운로드 (3).jpeg
여기 또 재밌는 연구를 한 학자가 있다. 미시간 주립대 교수 잭 햄브릭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교육, 전문 직업, 스포츠, 게임, 음악 등의 영역에서 지속적인 연습과 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해 조사를 했다.
분석 결과로 꾸준한 훈련은 전체적으로 성과의 12%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성과의 88%는 지속적인 연습의 결과라고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게임, 음악, 스포츠의 경우는 각각 26%, 21%, 18%로 노력의 영향력이 다소 높았지만, 교육은 4%, 전문 직업은 고작 1%에 불과했다.
햄브릭 '1만 시간의 법칙'에서 주장하는 노력에 대한 중요도가 그리 높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는 시작하는 연령, 지능, 성격, 작업기억 능력 등이 노력보다 더욱 중요한 요소일 것으로 짐작된다고 하지만, 이는 향후의 연구로 증명되어야 할 얘기다.

관련 기사 보러가기

연구의 문제는 표본집단 구성의 한계 때문이었다.

1만 시간의 법칙은 '통계의 왜곡'에서 발생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만 시간의 법칙은 엘리트 바이올린 연주자를 대상으로 산출한 '평균치'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1만 시간의 법칙을 믿는 수 많은 '일반인' 들에게는 미안하지만, 그 연구 자체가 '엘리트'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누구나' 1만 시간을 투자해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얘기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런 통계의 왜곡에 대한 것은 농구로 예를 들어 설명해보자.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비교하면 큰 키와 득점력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하지만 미국 프로농구 (NBA) 선수들로 제한했을 경우에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다.
다운로드 (4).jpeg
키 160cm로 활약한 선수도 있다!

1만 시간의 법칙은 허구인가?

자, 이러 저러한 이야기들을 풀어놨으니 이제 정리를 해보자. 말콤 글래드웰의 '1만 시간의 법칙'은 과연 거짓이고, 허구인걸까?
거짓도 아니고, 허구도 아니다. '노력'이라는 행위는 전문가가 되기 위한 과정의 요소임에는 틀림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법칙이라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통계가 명백히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대중은 이 사람들의 주장을 다시 한번 자기식으로 해석하면서 뜻이 왜곡된 듯 하다.


그렇다면 '1만 시간의 법칙'을 다시 한번 정리해보자.

  1. 전문가가 되려면 '노력'이 필요하지만 그것이 필요 1순위는 아니다.
  2. 애초에 재능이 없으면 1만 시간을 투자하는 것은 그다지 효과가 없다.
  3. 재능 이외에도 여러가지 환경 요건에 따라서 효과는 극과 극이 될 수 있다.
Sort:  

resteemed

슬프지만 노력해도 안되는게 있는 것 같습니다.
재능이 우선인 것 같아요.
2순위가 환경!
3순위가 노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슬픈 현실이지요.

살짝 결이 다른 얘기일 수도 있지만, 제가 본문에서도 언급한게 있어 첨언해드립니다.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이 말은 참일까요?
역으로 '성공하지 못한 사람들은 노력을 하지 않았다' 라고 단정할 수 있을까요?
통계와 논리에서 모두 오류를 보이고 있는 명제들입니다.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는 사람은 너무나 넘쳐납니다. 다만 그들 중 일부가 성공하지요.
성공을 하는 사람은 노력했기 때문에 성공한 것이 아닙니다.
@hodolbak 님께서 노력의 상위에 재능과 환경을 말씀해주셨는데, 제가 하나 더 보태겠습니다.
결국엔 "운"이 따라줘야 하는 부분도 매우 큽니다.
특히 예체능이 아니라 비즈니스의 세계에서는요^^

운칠기삼 이지요 ㅎㅎㅎ

에디슨이 천재는 1%의 영감과 99%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고 했었는데... 저도 사실 노력만으로는 한계점이 명확하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저는 세상 모든 사람들이 어떤 부분에서든 특출난 재능을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분야를 잘 살려서 자기계발해나가는게 답인거 같아요 ㅜㅜ

전에 TV 프로그램 <알쓸신잡>에서 정재승 박사가 이런 말을 했던 기억이 나네요.
에디슨의 명언은 "내 성공 비결은 99% 노력한 것에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노력한다. 나에겐 그들이 가지고 있지 못한 1%의 영감이 있었다." ...라고 합니다.
노력만으로 성공할 수 있는 건 우리의 착각입니다. @hisc 님의 말씀처럼 자신이 보유한 재능이 어떤 것인지 찾는 "노력"이 있어야 하고, "운"이 따라준다면 성장단계에서 재능을 발견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제가 좀 비관적이죠? ㅎㅎ

아 박사님 말로 들으니까.. 에디슨 명언도 결국 같은 맥락이었다는게 보이네요 ㅜㅜㅜ 약간 비관적인 면도 있지만 그게 현실인거같습니다 하하 ㅜㅜㅜ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25
JST 0.039
BTC 97402.80
ETH 3477.48
USDT 1.00
SBD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