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99] 돌할으방 어디 감수광
제주하면 돌하르방을 생각하곤 했는데 이젠 너무 익숙하다보니 인식을 못 할때가 많습니다.
낮에 서귀포 동문로터리에 다녀올 일이 있었는데 버스정류장에 돌하르방이 있어서 찍어봤습니다.
돌하르방은 손의 위치에 따라서 두가지 종류로 나뉜다는 것 아시나요?
제주에 오기전에는 손의 위치에 따라서 할아버지 하르방과 할머니 하르방으로 구분한다고 막연하게 알고 있었는데, 완전 잘못 된 상식이었습니다. ㅎ
하르방의 오른손이 왼손보다 위에 놓인 문인(文人)을 상징하고, 왼손이 위에 놓여 있으면 무인(武人)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알고 하르방의 얼굴을 가까이서 보면 정말 문인답게, 무인답게 생긴 것 같기도 하더라구요. ㅎ
주위에 제주어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그래도 제법 계시지만 돌할으방 어디 감수광 이라는 시는 정말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ㅋㅋ
그래도 다행히(?) 뒷면에 표준어 해설문이 있어서 재밌게 봤습니다. ^^
This post has been upvoted by @italygame witness curation trail
If you like our work and want to support us, please consider to approve our witness
Come and visit Italy Community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57.46117078554883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
오른 손 위가 문인. 기억해둬야 할텐데요. ㅎㅎ
그런데 제주도 사람들도 잘 모르더라구요. ㅋㅋㅋ
오른손이 위에 있으면 문인
왼손이 위에 있으면 무인
정말 아예 몰랐던 사실 이내요 !!
전 할아버지, 할머니 인 줄 알았죠~ ㅎㅎ
배워갑니다..
네~ ^^
하나 배우고 갑니다. ^^
제주도민들도 잘 모르는 사실이긴 합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