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2.20(목)

in EverSteemyesterday (edited)

그록 3.0에게 '스팀코인을 접목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을 물어봤더니 아래와 같이 답변을 했다. 사실 내가 원하는건 시나리오 2번. '보상이 높은 글'과 '재미가 있는 글'이 서로 일치하지 않아서 스팀잇 재미가 없는 것 같다. 아무튼 그록 3.0 정말 똑똑한 것 같다. 시간 가는 줄 모르겠다. 일해야하는데..ㅠㅠ

시나리오 1: NFT 기반 콘텐츠 소유권 및 수익화 플랫폼

[개발 방향]

  • 기술 통합: Steem 블록체인에 NFT(대체 불가능 토큰) 발행 및 거래 기능을 추가.
  • 구체적 기능:
    창작자가 작성한 게시물(글, 이미지, 영상 등)을 NFT로 발행해 고유한 디지털 자산으로 변환.
    NFT 소유권을 기반으로 콘텐츠의 2차 수익화(판매, 경매, 라이선스) 가능.
    Steem 토큰을 NFT 거래 수수료 및 보상 풀에 활용.
  • 추가 개선: Steem Power(SP)를 NFT 스테이킹으로 활용해 보상 비율을 높이거나, Steem Dollar(SBD)를 NFT 구매용 안정화 통화로 사용.

[기대 효과]

  • 사용자 유입: 크리에이터들이 자신의 콘텐츠를 자산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Steemit 플랫폼에 대한 관심 증가.
  • 수익 다변화: 기존 upvotes 기반 보상 외에 NFT 거래 수익으로 생태계 자금 순환 활성화.
  • 경쟁력: OpenSea나 Rarible 같은 NFT 마켓플레이스와 차별화된 "소셜 미디어 + NFT" 모델로 틈새 시장 공략.
    기술적 도전 과제
    Steem 블록체인의 트랜잭션 처리 속도(TPS)와 확장성 개선 필요.
    NFT 표준(예: ERC-721, ERC-1155) 호환성을 위한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시나리오 2: AI 기반 콘텐츠 큐레이션 및 개인화 엔진

[개발 방향]

  • 기술 통합: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을 Steem 블록체인에 접목해 콘텐츠 추천 및 보상 시스템을 고도화.
  • 구체적 기능:
    AI 알고리즘이 사용자 행동(좋아요, 댓글, 조회수)을 분석해 맞춤형 콘텐츠 피드를 제공.
    콘텐츠 품질을 자동 평가(스팸, 저품질 글 필터링)해 보상 분배의 공정성 강화.
    Steem 토큰을 AI 서비스 이용료로 사용하거나, AI 추천 콘텐츠에 추가 보상을 제공.
  • 추가 개선: Steemit 모바일 앱에 AI 챗봇(예: 콘텐츠 작성 조언, 트렌드 분석)을 통합.

[기대 효과]

  • 사용자 경험 개선: 개인화된 콘텐츠 추천으로 사용자 체류 시간 증가 및 활동성 향상.
  • 커뮤니티 신뢰: AI 기반 품질 관리로 스팸 게시물 감소, 보상 시스템의 신뢰도 상승.
  • 시장 트렌드 부합: ChatGPT, Google Bard 등 AI 열풍에 맞춘 차세대 소셜 플랫폼으로 포지셔닝.
  • 기술적 도전 과제
    AI 모델 학습을 위한 대규모 데이터 수집 및 블록체인 상에서의 처리 비용 문제.
    개인정보 보호(온체인 데이터 활용 시 프라이버시 우려) 해결 필요.

시나리오 3: DeFi와의 통합을 통한 금융 생태계 확장

[개발 방향]

  • 기술 통합: Steem 블록체인을 DeFi(탈중앙 금융) 프로토콜과 연결해 금융 서비스를 제공.
  • 구체적 기능:
    Steem과 SBD를 활용한 유동성 풀(Liquidity Pool) 구축 및 스테이킹 서비스 제공.
    콘텐츠 창작자가 Steem 토큰을 담보로 대출을 받거나, 보상을 레버리지 투자에 활용 가능.
    트론(TRX) 생태계와 협력해 Steem 기반 스테이블코인(예: USD-pegged SBD 개선판) 발행.
  • 추가 개선: Steemit 내 마켓플레이스에서 DeFi 수익률 기반 보상 풀 운영.

[기대 효과]

  • 자금 유입: DeFi 투자자층이 Steem 생태계로 유입되며 토큰 수요 증가.
  • 경제적 지속성: 보상 풀의 자금 조달이 기존 채굴 보상에서 DeFi 수익으로 다변화.
  • 트론 시너지: 저스틴 선의 트론 네트워크와의 통합으로 개발 비용 절감 및 상호운용성 강화.
  • 기술적 도전 과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 추가를 위한 Steem 블록체인 업그레이드 필요.
    DeFi 프로토콜의 보안 취약점(해킹 위험) 대비를 위한 감사 및 테스트 강화.

개발 우선순위 및 현실성

  • NFT 통합 (시나리오 1)
    장점: 구현 난이도 중간, 시장 트렌드(크리에이터 경제)와 부합, 빠른 사용자 반응 기대.
    우선순위: 단기적으로 가장 실현 가능하며 즉각적인 효과 가능.
  • AI 큐레이션 (시나리오 2)
    장점: 장기적 경쟁력 강화, 사용자 경험 혁신.
    우선순위: 중기 프로젝트로 적합, 초기 비용과 기술 인프라 구축 필요.
  • DeFi 확장 (시나리오 3)
    장점: 금융 생태계 확장으로 토큰 가치 상승 가능성 높음.
    우선순위: 장기적 비전으로 적합, 트론과의 협력 여부에 따라 속도 조절 필요.

#mexico #krsuccess #steemit #grok

Write Once, reward forever via EverSteem app

Sort:  

공감합니다.
이 글이 이렇게 까지 높은 보상을 받을 만한 글인가? 하는 생각이 들면서...

'보상이 높은 글'과 '재미가 있는 글'이 서로 일치하지 않아서 스팀잇 재미가 없는 것 같다

Proof of Brain 을 주장했던 스팀잇이었는데... Proof of Brain은 언제쯤 작동하게 될까요? ^^;

X 처럼 나를 학습해서 포스팅을 추천해주면 스팀잇이 재미있어 질 것 같아요.
보상많이 받는 사람을 보면 부럽기만 하지 유익하거나 재미있다고 느껴지지 않거든요.
방문 감사합니다.

다른 체인이긴 하지만 비슷한 시도가 있었습니다.

https://mirror.xyz/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기본적으로 코인장이 좋아져서 가격이 납득 가능할 정도로 올라 준다면
많은 분들이 유입이 될텐데 장이 너무 안 좋으니
이런 저런 시도를 해도 힘이 드는 거 같습니다

코인가격과 기술개발은 매우 연관성이 있지만 무엇이 우선인지는 닭과 달걀의 관계라고 생각해요. 다만 코인가격은 우리가 어쩔 수 없고, 기술개발은 우리가 뭐라도 노력해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기술개발을 하시는 분들께 응원과 지지를 보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아요.
방문 감사합니다.

막상 실행하기에 어려움이 잇나봅니다.^^

저도 이쪽 분야는 잘 몰라서 쉽지는 않을 것 같다고 추측만 해볼 뿐입니다.ㅎㅎ
방문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17
TRX 0.24
JST 0.034
BTC 96349.36
ETH 2685.24
SBD 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