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와 빗썸 2달 만의 변화(24.12 -> 25.2, 빗썸의 성장?)
글 작성일: 2025년 2월 4일
안녕하세요. 요거트 @yoghurty 입니다.
약 2달 전(2024.12.3) 코인마켓캡 사이트의 최고의 암호화폐 현물거래소 (Top Cryptocurrency Spot Exchanges) 화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비트와 빗썸에 대해 알아보았었습니다.
그간 업비트는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로 부터 특금법 위반과 관련된 제재를 사전 통지 받는 등 좋지 않은 일도 있었는데요.
코인마켓캡의 동일한 메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로부터 약 2달이 지난 지금 업비트와 빗썸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
업비트와 빗썸 2달 만의 변화(24.12.3 → 25.2.4)
- 업비트와 빗썸을 합한 하루(24H) 거래량 2달 전의 약1/3 수준으로 감소, 하지만 업비트의 거래량 감소 폭이 두드러짐
- 업비트는 지난해 12월 초 약 170.7억에서 올 2월 초 54.8억으로 약 67.9%가 감소하였으며, 빗썸은 44.8억에서 26.8억으로 약 40.1%가 감소하였습니다.
- 업비트와 빗썸 모두 24시간 거래량은 감소하였지만, 그 감소폭은 업비트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빗썸의 시장점유율(24H 거래량 기준) 상승 20.8% → 32.9%
- 코인마켓캡의 24H 거래량 기준 시장점유율은 업비트의 경우 79.2% → 67.1% 감소, 빗썸 20.8% → 32.9% 상승 하였습니다(단, 업비트와 빗썸 두 거래소 만을 대상으로 하여 계산한 시장점유율).
- 2달간 빗썸의 공격적 코인 상장, 37개! → 거래소에서 다양한 코인 거래 가능
- 빗썸은 2달간 37개의 신규 코인을 원화 마켓에 상장 시켜 총 356개의 코인을 거래(11.6% 증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업비트는 같은 기간 9개의 신규 코인이 상장되어 총 229개의 코인 거래가 가능합니다.
- 업비트의 여전히 앞서고 있는 거래가능한 마켓의 수. 업비트 432 vs 빗썸 364
- 상장되어있는 코인의 수는 업비트가 적지만, 거래가능한 마켓(쌍)(예, XRP/KRW)의 수는 여전히 업비트가 우세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 이는 업비트의 경우 빗썸에 비해 코인에 대한 거래쌍이 KRW, USDT, BTC 등 더욱 다양함을 의미 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더욱 크게 감소한 빗썸의 평균 유동성, 업비트 -1.2% vs 빗썸 -12.7%
- 지난 2달간 업비트와 빗썸 모두 평균 유동성이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업비트의 경우 약 -1.2% 인 반면, 빗썸은 -12.7%로 그 감소폭이 더 크게 나타났습니다.
- 업비트의 평균 유동성 점수는 560인데 반해 빗썸은 454입니다(참고, 바이낸스 888). 유동성 점수가 높을 수록 슬리피지(예상한 가격과 실제 체결 가격 간의 차이)가 최소화 되고, 주문이 신속하게 체결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빗썸의 경우 단기간(2개월)에 이루어진 많은 신규 코인들의 상장이 거래소의 평균 유동성 점수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닌가 조심스럽게 추측해봅니다.
숫자로 확인해 보는 업비트와 빗썸 2달간의 변화
거래소 | 업비트 | 빗썸 | ||||||
---|---|---|---|---|---|---|---|---|
날짜 | 2024.12.3 | 2025.2.4 | 증감 | 증감율 | 2024.12.3 | 2025.2.4 | 증감 | 증감율 |
Trading volume(24h, USD) | 170.7억 | 54.8억 | -115.9억 | -67.9% | 44.8억 | 26.8억 | -18.0억 | -40.1% |
Avg. Liquidity | 567 | 560 | -7 | -1.2% | 520 | 454 | -66 | -12.7% |
# Markets | 398 | 432 | 34 | 8.5% | 324 | 364 | 40 | 12.3% |
# Coins | 220 | 229 | 9 | 4.1% | 319 | 356 | 37 | 11.6% |
- 데이터 출처: 코인마켓캡(https://coinmarketcap.com/rankings/exchanges/)
마무리
최근 2달 간 빗썸은 (24시간 거래량 기준)기존 약 80:20의 시장점유율 구도를 67:33의 구도로 전환시키는 큰 변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적극적인 신규 코인의 상장 노력 뿐만 아니라 최근 업비트의 악재(?)도 빗썸의 성장에 어느 정도 기여를 한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3월 부터는 거래 은행도 기존의 농협에서 KB국민은행으로 변경하는 빗썸! 앞으로 빗썸의 발전이 기대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최고의 시장점유율을 갖고 있는 업비트는 빗썸에 비해 (1) 상대적으로 높은 거래소의 평균 유동성과 (2) KRW, USDT, BTC 등 다양한 마켓 지원하는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업비트와 빗썸, 빗썸과 업비트 두 거래소 간의 선의의 경쟁 및 발전과정에서 고객들은 이들 거래소로 부터 더욱 질 좋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길 기대합니다.
고맙습니다.
*업비트 악재(?)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빗썸이 상승하고 업비트가 하락을 하면
업비트도 고객 이벤트 같은 걸 많이 하겠지요
빗썸의 공격적인 에어드랍 마케팅도 큰 역활을 한 거 같습니다
예~ 빗썸의 공격적인 에어드랍 마케팅도 한 몫한 것 같아요~
업비트도 자극 받아서 고객 이벤트 많이 해주길 바라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업비트에서 거래하는 코인수가 432개 정말 엄청나네요.
스달을 거래에서 제외한다는게 안타갑네요
스달을 빗썸에서 좀 해주면... 😆
고맙습니다! ^^
최근 업비트의 악재는 무엇인가요?
아하~ 이미 알고 계실 것 같기는 한데...
1월 중순 경에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에서 업비트에 특금법 위반 관련 제재 사전통지한 것을 말합니다. ^^
물론 업비트 소명절차가 있었고, 아직 이 제재가 확정되진 않았으며,
제재 수위도 사전 통보때 보다 낮아질 수는 있습니다. ^^
고맙습니다! ^^
👍
Thank you for your curation.
저도 빗썸을 더 사용 하는 중입니다.
업비트는 너무 고인물 같게 되었네요.
사실 빗썸이 더 고인물인데...
빗썸이 초창기 거래소였었는데...
아마도 후발 주자인 업비트에게 추월 당한거였죠? ㅋ
1등도 계속 잘하지 않으면 2등에게 언제든 추월 당할 수 있는 환경이
소비자들에게는 그리고 생태계에 바람직한 환경인 것 같습니다. ^^
1등에게는 좀 피곤하겠지만요. ^^
국내 거래소는 송금용으로만 사용하지만 업빗의 횡포가 심해서 빗썸을 써볼까 싶네요
예... 1등도 잘하지 않으면
언제든 2등에게 추월 당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일깨워 줄 필요도 있을 것 같습니다! ^^
오늘도 유용한 정보 가득한 요거트님 포스팅이네요~!
건강 잘 챙기시고 기분 좋은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한 주 고생많으셨어요~
즐겁고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