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사변 육군전사 3권(65)

in #avle10 days ago (edited)

한편 군위를 석권한 적 제1사단은 계속 진격을 조금도 연화(軟化)함이 없이 관동을 경유, 응봉산 동측 일대를 점령한 후 8월 23일경에는 다부동 동북방 일대에 침입 포진하였으며 낙동리로부터 금속 남하 중이던 적 제13사단은 낙동강 중류 연안을 따라 8월 25일경 다부동 북방 천평 일대에서 포진하였다. 그리고 왜관 부근의 적 제3사단은 왜관~소복~인동 일대에 침입 진지를 구축하고 아군 제1사단의 반격에 대비하는 반면 기회를 보아 이를 격파한 후 계속 남침할 방도를 호시탐탐 기도하고 있었으며 선산 방면에서 남하한 적 제15사단은 적 사령부의 작전계획 변경에 따라 인동에서 소복으로 침입한 후 소복에서 동북방 관동을 경유하여 장구 동진 끝에 8월 25일경에는 아 제1군단 지구 정면인 비봉산~구산동 선에서 도평동 방면으로 동진을 계속하고 있었다.

이때 아 수도사단 정면 기계 지구에서는 8월 23일 괴뢰 제12사단이 도착하고 피아간 치열한 공방전이 전개되고 있었으며 아 제3사단 정면 포항지구에서는 적 제5사단과 처참(悽慘)한 쟁탈전이 계속되고 있었고 중동부 아 제6사단 정면의 적 제8사단은 의흥을 돌파한 후 조림산 부근에서 피아간 치열한 공방전이 전개되고 있었다.

이로써 8월 25일 현재 중부 아 제2군단 지구 정면의 적 제3사단은 왜관~인동~소복동 일대에서 제13사단은 다부동 북방 천평동 부근 일대에 제1사단은 천평, 다부동, 동명원의 동방 복곡 기성동 일대에서 아군과 대치하고 있으며 중동부 아 제1군단 정면의 적 제8사단은 조림산을 침공 후 9월 1일 신령 북방 괴봉에 침입하고 제15사단은 도평을 경유, 9월 4일경 영천 북방 조교동 대천동 일대에 침입하였다. 그리고 동부 아 수도사단 및 제3사단 정면에서는 여전히 기계 포항 방면에서 치열한 교전을 전개하고 있었으며 이때부터 아군은 전 전선에 있어서 대략 9월 14일까지 소위 낙동강 방어선 지연작전을 감행하여 이후의 일대 반격작전의 기회를 포착하였던 것이다.(부도 제36 참조)

당시 아군 정면에 침투하여 온 적은 대략 8개 사단 1개 연대이며 그 총병력은 98,500명이었고 장비는 전차, 포, 중기 등으로 중무장하고 있었으며 수송 방법으로는 자동차, 마차 등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Coin Marketplace

STEEM 0.17
TRX 0.23
JST 0.033
BTC 96196.51
ETH 2620.15
USDT 1.00
SBD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