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마주 프로젝트 / [Engineer EGG ] 공인연비 어떻게 측정할까? - [Part 2]
김달걀입니다 :D
이 글은 @stylegold 님의 『오마주』 프로젝트 13차 (부제: 숨겨진 글 발굴하자!!) 에 참여하기 위해 재작성된 글입니다.
오마주하려는 제 지난 글은 포스팅한 지 벌써 네 달도 더 됐네요.
많은 이웃분들께서 저를 레고, 모형, 여행 글을 올리는 친구라고 생각들 하고 계실겁니다. 맞죠? ^^
저번 오마주 글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아마 모르시는 분들도 많으실거 같아요. 저는 자동차 엔지니어입니다.
스티밋에 처음 왔을 때 여러 전문적인 글들을 보고 배워가는 부분이 많았고 스티밋이 하나의 배움의 장소라는 점이 매우 마음에 들었었습니다. 그래서 자동차에 대한 이모저모 포스팅을 기획했고 오늘 다시 가져온 글이 바로 그 시리즈의 두 번째 글입니다.
요약 : 자동차 공인연비 어떻게 측정할까? 제조사가 고객에게 홍보하는 연비라는 숫자가 어떻게 공신력을 가질 수 있는지 설명드린 글입니다.
원본 : https://steemit.com/kr/@kimegggg/engineer-egg-part-2

지난 번에 자동차 연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었죠? 공인기관에서 인증해주는 대표 연비가 어떻게 나오게 되는지 간단히 설명드렸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기 전에 지난 글을 가볍게 읽어보시면 이해하기 쉬우실 겁니다 ^^
샤시다이노미터라고 하는 장비에서 차량을 주행해 연비를 측정한다!
단, 다양한 조건을 통제하여 대표성을 띌 수 있도록 한다!
뭐, 요약하면 이 정도 되겠네요ㅎㅎ

▲샤시다이나모미터 Chassis dynamometer - Source
그리고 지난 글 말미에,
샤시다이나모미터의 매끈한 롤 위에서 주행하는게 어떻게 실제 도로에서 주행하는 도로와 같을 수 있는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가져오기로 했었죠!

그럼, 오늘의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D
공을 굴리면 언젠가는 멈춘다는 걸 우리는 모두 알고 있습니다.
공이 굴러가는 동안 지면과의 마찰, 공기저항, 기울기 등에 의해 결국에는 멈추죠! 마찬가지로..
만약, 시속 100km 로 달리고 있는 자동차의 기어를 중립에 놓으면 어떻게 될까요? 점점 차속이 줄어들면서 언젠가 멈추겠죠?

자동차의 속도가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그래프로 나타내 볼게요!

예를 들어 SUV인 랜드로버 처럼 무겁고 공기저항을 많이 받는 차는 빨간색처럼,
아반떼처럼 가볍고 공기저항에 유리한 차는 파란색처럼
각각 멈추는데 걸리는 시간이 다르겠죠?
차마다 이 "굴러가는 저항력"이 다른데요
이 저항력을 단 숫자 3개로 나타낼 수 있답니다.
저항력 F = a ×속도
2 + b × 속도
+ c
예를들어 랜드로버의 계수가 a = 0.04 , b = 0.1 , c = 150 이라고 하고, 아반떼의 계수는 a = 0.03 , b = 0.09 , c = 120 정도라고 가정하면,
시속 100km 에서 랜드로버는 560N 의 저항을 아반떼는 429N의 저항을 이겨내야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다 왔습니다. 자동차의 저항력 계수 a, b, c 를 샤시다이노 제어 프로그램에 입력해주기만 하면 자동차는 실제 도로에서 달리듯이 저항력을 받게 됩니다. 저 숫자들만 입력해주면 속도에 따라 해당되는 만큼의 저항력을 받도록 장비가 설정된대로 힘을 조절해주기만 하면 되니까요.
여기서 끝내면 [뭐야 니 할말만 하고 가냐?], [그래서 a, b, c 가 뭔데??]
하시겠죠? +_+
그럼 어째서 저런 수식으로 표현한 것인지, 그리고 a, b, c 를 어떻게 정해지는 것인지 알아볼게요!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
저번에 포스팅한 연비 시리즈 첫 글은 제가 다시 봐도 조금 읽기 싫게 보이고..ㅜ 내용도 생소하고 어려울 수도 있었어요.그래서 이번에는 어떻게 하면 보시기라도 편하실까 고민하며 그림도 그려가며 작성했습니다 +_+* 오늘까지 해서 공인연비를 어떤 방법으로 측정하는지에 대해 간략(?)하게 나마 소개해드렸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연비 측정 방법의 종류 : 내 차 연비 측정해보기!!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 [오마주]프로젝트로 재 발굴한 글입니다.
오마주 프로젝트로 예전 글을 다시 가져온 건 이번이 두 번째입니다. 아시다시피 그 첫 번째가 이 '연비'연재의 첫 글이구요. 오마주 프로젝트에 참여시키고 싶은 지난 취미 글도 많이 있지만 자동차 글들을 먼저 가져온 이유가 있습니다. 업무의 연장선인 느낌을 지울 수 없어 스티밋에 자동차 글을 쓰는게 쉽지가 않습니다. 그와 동시에 나름 전문적인 글로 지식을 전달해드리고 싶은 마음이 늘 있습니다. 그렇기에 오마주 프로젝트를 통해 미뤄왔던 자동차 포스팅을 다시 시작해보자는 의지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여전히 어려울 수 있는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동차 엔지니어셨군요 !!
어쩐지 레고 만드시는 손길이 예사가 아니셨어요 !!!
멋진 김달걀님 홧팅 입니다. ^^
알흠다운 러븜님 감사합니다 ㅋㅋ
레고도 그래서 자동차 제품이 가장 재밌어요 +_+
현직 전문가의 전문적인 지식! 완벽하게 잘 배웠습니다. 그런데 그림은 직접 그리신건가요? 쩝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_+ 넵 다이소 가서 캘리그리피용 싸인펜부터 사서 그렸습니다 ㅋㅋ 그리구 포토샵으로 편집! 나름 재밌었어용 ㅋㅋ
재발굴 하셨는데, 읽을수가... ㅋㅋㅋㅋ 머리 아파요.. ㅋㅋㅋㅋ
ㅋㅋㅋㅋ차차님 4개월 전에 이 글의 원글에도 비슷한 댓글 달아주셨던거 기억 나시나요 ㅋㅋ
늘 감사합니다 ^^
앗!! 소오름!!
모르는건 모르는거라 ㅋ
좋은 하루 되세요!!
전 이때까지 공도나 서킷에서 달리고 재는줄 알았습니다.
외란에 의한 변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이렇게 연비와 배출가스 인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그래프 보고 머리가 지레 겁을..ㅋㅋㅋㅋ
그래도 최대한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달걀.. 이름 너무 귀여운 듯 ㅋㅋ
ㅋㅋ 닉네임 덕분에 초기에 정착하기 수월했습니당 다들 기억해주셔서 ^^
그래프 보고 겁먹지 않도록 최대한 귀엽게 그려본건데 ㅜㅜ 실패네요 역시나..ㅋㅋ
연비측정을 이렇게 하는건 처음 알았어요.
저는 실제로 야외같은곳에서 주행하는줄 알았는데..^^
외란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실내 시험 장비에서 평가합니다. ^^ 유럽에서는 올해부터 RDE라는 법규를 시행해 배출가스 일부 항목을 실제 노상에서 측정하고 있습니다!
저번에 이 글보고 와~ 전문가다!! 헉! 했던 기억이 있는데,
오늘도 헉!을 외치고 갑니다. ^^
ㅋㅋㅋㅋ 헉! 외치고 도망가시는건 아니죠?
늘 감사합니다 +_+
@홍보해
원사마님 감사합니당 +_+ ㅋㅋ 축구 재밌게 보세요!!
자동차 엔지니어 이셨군요. . . . . . ㄷㄷㄷ 오마주 덕분에 알게되네요 ㅎㅎ 레고만 봐서 몰랐습니다. ㅎㅎㅎㅎ
..... 본문은.. 머리가 터질것 같아서 휘리릭...
ㅋㅋㅋ4개월 넘게 거의 레고만 올렸으니까용 ㅋㅋ
사실 레고 포스팅이 젤 신나긴해요 ㅋㅋ
본문 공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