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용석 원광대학교 2022052238 한국 간화선의 원류, 계승, 변용, 형성에 대한 연구 - 중국의 원오극근, 대혜종고부터 여말 삼사(태고보우, 나옹혜근, 백운경한)까지

in #research2 years ago

image.png
https://www.nrf.re.kr/biz/notice/view?menu_no=362&page=&nts_no=180388&biz_no=427&target=&biz_not_gubn=result&search_type=NTS_TITLE&search_keyword1=

오용석
원광대학교
2022052238
한국 간화선의 원류, 계승, 변용, 형성에 대한 연구 - 중국의 원오극근, 대혜종고부터 여말 삼사(태고보우, 나옹혜근, 백운경한)까지

접수과제정보
접수번호2022052238
연구요약문
연구목표
(한글 2000자 이내)
본 연구는 한국 간화선의 원류 및 계승과 변용 그리고 사상의 형성 과정을 통시적 공시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아젠다로 삼는다. 즉 한국 간화선의 원류에 해당하는 원오극근과 대혜종고를 필두로 간화선의 대표적 선승인 몽산덕이, 고봉원묘, 보조지눌, 진각혜심, 여말 삼사(태고보우, 나옹혜근, 백운경한)에 이르는 간화선의 사상 및 변화의 과정을 탐색한다. 지금까지 간화선과 관련된 연구성과는 대체로 이들 모두를‘간화선’이라는 큰 범주로 이해하고 연구하는 경향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원류, 계승, 변용, 형성이라는 네 가지 관점에서 간화선에 접근하고 이를 해체 및 병합하여 간화선이 갖는 다양한 특징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의 선사로 원오극근, 대혜종고, 몽산덕이, 고봉원묘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한국의 선사로는 보조지눌, 진각혜심, 여말 삼사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중국의 간화선이 한국의 간화선에서 어떻게 수용, 계승, 변화, 형성되었는지 구체적인 면모를 파악하고 중국과 한국의 간화선이 갖고 있는 특수성과 보편성을 사상적 관점에서 규명하도록 한다. 즉 한국 간화선의 공시적 현재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네 가지를 목표로 한다.

○ 중국과 한국의 간화선에 나타난 변용, 발전 파악
○ 중국과 한국의 간화선이 갖는 특수성과 보편성 고찰
○ 한국 간화선 사상의 형성 계보 및 특징 발견
○ 한국 간화선 사상의 현대적 의의 고찰

본 연구는 원오극근에서 여말 삼사에 이르는 간화선의 사상을 원류와 계승 그리고 변용과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비교 고찰을 통한 연구를 진행한다. 우선 중국선에서는 간화선의 원류에 해당하는 원오극근과 대혜종고를 비교한다. 그리고 대혜종고와 몽산덕이의 간화선을 비교하고 다시 몽산덕이와 고봉원묘의 간화선을 비교한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선의 보조지눌과 진각혜심의 간화선을 비교하고, 다시 여말 삼사의 간화선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고려 후기 간화선 형성의 사상적 계보를 정립한다. 이러한 연구는 공시적으로 중국선의 간화선과 한국선의 간화선이 갖는 차이와 공통점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통시적으로는 한국의 간화선이 중국의 간화선을 통해 어떻게 계승, 변용, 형성되어왔는지 파악할 수 있다.
기대효과
(한글 2000자 이내)
한국불교에서 중시하는 간화선은‘간화선’이라는 개념 아래 암묵적으로 대혜종고가 주창한 간화의 방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실제로 한국의 간화선은 중국의 간화선과 이해 방식 및 실천 방식에서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겉으로 보기에 대혜종고의 간화선을 그대로 수용한 것처럼 보이지만 고려의 보조지눌과 진각혜심을 거쳐 조선시대의 청허휴정, 백파긍선 등에 이르고 다시 근현대의 성철선사 등에 이르는 간화선은 중국 간화선과 다른 사상적 특수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한국 간화선의 원류와 계승 그리고 형성 과정에 대한 탐색을 통해 한국불교에서 간화선이 중요한 수행방식으로 자리잡게 된 사상적 근원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코로나19등으로 인한 다양한 심리문제의 해결, 불안감 극복, 주체성 확립 등에 필요한 인문정신을 한국 간화선의 의의와 가치를 통해 되살릴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진행되면 다음과 같은 연구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통시적인 입장에서 한국 간화선의 사상적 형성 계보를 파악할 수 있다. 사상의 형성은 융합과 착종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국의 간화선 역시 단순한 중국 간화선의 계승이 아니다. 간화선이 남송, 원대, 고려를 거치면서 당시의 시대적 문제를 어떻게 수용하고 반응하며 계승, 변용, 형성되어왔는지 살펴볼 수 있다.
둘째, 공시적 입장에서 한국 간화선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한국불교에서 간화선은 조계종의 핵심 사상이자 수행으로서 강조되고 있다. 한국불교에서 간화선이 갖는 사상적 의의와 역할 등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셋째, 후속 연구로 한국불교사상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고려후기의 진각혜심에 대한 흥미 유발, 조선후기 백파긍선의 간화선 사상에 대한 관심 제고, 퇴옹성철 등 근현대 간화선관에 나타난 독창성과 문제점 등에 대한 논의 등 새로운 담론을 형성할 수 있다.
넷째, 간화선은 불교사상의 독자적 산물만은 아니다. 간화선은 당시 유행했던 사회·문화적 영향과 사상적 배경을 통해 형성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현재 한국불교에의 간화선은 다양한 인문학적 관점과 연계될 수 있다. 특히 간화선이 다양한 사상적 착종의 결과였고 그것이 계승과 변용의 긴장 관계 속에서 발전해 온 것이라면 현재 한국불교에서 간화선이 갖는 인문정신과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간화선에 대한 연구는 문학, 철학, 미학, 역사학 등의 학문 분야와 연계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한 학문적, 사회적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학문적 기대효과: 한국 간화선의 사상적 형성 계보 파악

  • 중국과 한국 간화선 사상의 원류와 변용 및 수용과 형성에 대한 이해
  • 중국과 한국의 간화선 사상에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 파악
  • 한국 간화선의 정체성 및 특징 파악
    ○ 사회적 기대효과: 한국 간화선을 통한 정신문화 확충 및 인접학문과의 연계
  • 한국 고유의 명상 문화로서 간화선 제시
  • 간화선 형성에 영향을 미친 유학, 문학, 철학 등에 대한 관심 제고
  • 간화선에 나타난 인문정신과 시대정신을 현대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심리적 문제 해결, 가치관 확립 등에 기여
    연구요약
    (한글 2000자 이내)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불교에서 간화선 사상의 원류, 계승, 변용, 형성 등을 파악하여 한국 간화선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간화선은 보조지눌, 진각혜심 및 여말삼사에 의해 수용, 발전되었으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간화선의 주창자인 대혜종고와 그 뒤의 몽산덕이, 고봉원묘 등을 중심으로 한국의 간화선을 이해하는 시도가 주를 이루었다. 특히 간화선의 계승과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졌을 뿐 한국 간화선의 형성 과정과 소이연(所以然)을 밝히는 데에는 많은 관심이 없었다. 본 연구는 한국 간화선의 계보를 추적하고 그것의 원류, 계승, 변용, 형성 등을 파악하여 한국적 간화선이 가진 정체성과 특징을 확보하고자 한다.

연구내용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주요 간화 선사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제시한 간화선 사상의 특징, 변용, 형성 등의 양상을 탐구한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단계를 통해 진행될 것이다.

○ 1단계: 중국의 간화선

  • 원오극근의 공안에 대한 이해와 대혜종고 간화선의 및 형성 배경 연구
  • 대혜종고와 몽산덕이 간화선 사상의 형성 배경 비교 및 공통점과 차이 점 고찰
  • 몽산덕이와 고봉원묘의 간화선 사상의 형성 배경 연구 및 공통점과 차 이점 고찰

○ 2단계: 한국의 간화선

  • 보조지눌과 진각혜심의 간화선에 대한 형성 배경 및 공통점과 차이점 고찰
  • 여말 삼사의 간화선 사상을 보조지눌 및 진각혜심과의 관계를 통해 분 석
  • 한국 간화선의 정체성 및 특징 파악하고 이를 통해 현시대에 적합한 인문정신과 시대정신 제시

○ 연차별 연구 내용
⦁1년차: 원오극근과 대혜종고의 간화선

  • 원오극근의 공안에 대한 이해방식이 대혜종고의 간화선 형성에 미친 영향 분석
  • 대혜종고 간화선 형성의 사상 및 역사적 배경 탐색
  • 원오극근과 대혜종고 간화선의 공통점, 차이점 고찰

⦁2년차: 대혜종고와 몽산덕이의 간화선

  • 몽산덕이 간화선 형성의 사상 및 형성 배경 고찰
  • 대혜종고와 몽산덕이 간화선의 공통점, 차이점 고찰

⦁3년차: 몽산덕이와 고봉원묘의 간화선

  • 고봉원묘 간화선의 특징 및 형성 과정 탐구
  • 몽산덕이와 고봉원묘 간화선의 공통점, 차이점 고찰

⦁4년차: 보조지눌과 진각혜심의 간화선

  • 보조지눌 간화선의 형성 배경 및 중국 간화선 등과의 영향 관계 고찰
  • 진각혜심 간화선에 나타난 특징 및 형성 배경 고찰
  • 보조지눌과 진각혜심 간화선의 공통점, 차이점 고찰

⦁5년차: 여말 삼사(태고보우, 나옹혜근, 백운경한) 간화선의 보편성과
특수성 고찰

  • 여말 삼사의 간화선 형성 배경 및 중국 간화선 등과의 영향 관계 고찰
  • 여말 삼사의 간화선 사상 비교
  • 여말 삼사 간화선의 보편성과 특수성 고찰

⦁6년차: 한국 간화선의 정체성과 특징

  • 한국 간화선의 정체성과 특징에 대한 연구
  • 중국 간화선과 한국 간화선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분석
  • 간화선 사상을 현시대에 적합한 인문정신과 시대정신으로 해석·적용

연구방법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선종사에 나타난 간화선의 원류를 탐색하고 더 나아가 한국 간화선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론을 채택한다.

○ 통시적 관점에서 중국의 간화선으로터 한국의 간화선에 이르는 사상적 계보를 시대적 배경, 개인적 배경, 교류 관계, 문헌 등을 중심으로 분 석
○ 주요 간화 선사들의 간화선 사상과 형성 배경을 상호 비교 고찰
○ 공시적 관점에서 중국의 간화선 사상과 한국의 간화선 사상을 비교
분석
○ 한국 간화선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원류, 계승, 변용, 형성의 네 가지
관점을 적용하여 고찰
키워드(Keyword)
(한글 250자 이내)
간화선, 원오극근, 대혜종고, 보조지눌, 진각혜심, 태고보우, 나옹혜근, 백운경한, 원류, 계승, 변용, 형성
키워드
(영어 500자 이내)
Ganhwa Seon, Yuanwu-Keqin, Dahui-Zonggao, Bojo-jinul, Jingak-Hyesim, Taego-Bowoo, Naong-Hyegeun, Baekwoon-Kyeonghan, Origin, Succeeding, Acculturation, Formation

Coin Marketplace

STEEM 0.21
TRX 0.20
JST 0.034
BTC 90504.92
ETH 3101.91
USDT 1.00
SBD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