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Network(Top-down) - Data-Link Layer

in #network7 years ago

It is just my opinion, so don't you attack me. please!

But if this posting has some incorrect informations, you comment about that

Please!!

Data-Link Layer


  • Multiple Access Protocol
    · Random Access Protocol
    Random은 channel을 이용할 때, capacity를 full로 사용이 가능하다, node들 간의 사전에 합의된 것이 없음. 2개 이상이 channel을 사용하려고 하면 collision이 발생, collision을 어떻게 detect, recover를 하는지?

    · Slotted ALOHA

    Node는 같은 클락을 잘 알고 있음, 하나의 slot 사이즈와 transmit time이 같음, Collision 이 발생했을 때, 확률 p로 계속해서 보낸다.

    · Pure(unslotted) ALOHA

    slot을 없앤 형태로 중간에 i frame이 나중에 다시 전송된다.

    ·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지 확인, 하지만 동시에 사용한다면 충돌이 발생한다.

    · CSMA/CD (collision detection)
    탐색을 하고 나중에 온 신호를 중단 시킨다, 하지만 propagation delay가 존재하기 때문에 약간의 시간이 소요된다.

    · Polling
    관리자가 권한을 줌, 관리자에 이상이 생기면 전체에 영향을 미침, overhead가 발생 함.

    · Token passing
    토큰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에 영향을 미침, 토큰을 넘기는 데, overhead가 발생 함.

Coin Marketplace

STEEM 0.16
TRX 0.25
JST 0.034
BTC 95840.97
ETH 2689.81
SBD 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