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사변 육군전사 3권(140)
제5장 보현산 부근 전투(2)(4283년8월7일~4283년9월4일)
제1절 일반 정황
제1항 작전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
(一) 기상
제2기 작전 기간 중 초기에는 혹서가 계속되고 때때로 강우가 내려 포 관측 및 공격에 약간의 지장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작전 종기에는 간혹 운천과 청천이 계속되었을 뿐 별로 작전에 미치는 제약은 없었다.
(二) 지세(본 전투(1) 참조)
(三) 교통망(본 전투(1) 참조)
제2항 전투 전 피아의 태세
(一) 적의 작전기도
제1기 작전에서 아군에게 대대적인 참패를 당한 적은 제2기 작전에 돌입하자 보현산을 중심으로 구산동~도평동~월매동~구암산~운주산~상송동~사촌동을 연하는 아군 방어 전면에서 분산된 병력을 재수습하여 지원 부대의 도착을 기다려 전면 집중 공격으로써 아군의 방어진을 붕괴시킨 후 아 후방에 침투하여 아군의 주보급로를 차단시키는 동시에 대구 방면의 아군 방어진에 위협을 가하는 한편, 아군의 최종 교두보인 부산 공략을 기도하였다.
(二) 아군의 작전계획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적의 남하기도에 대하여 아군은 소수병력을 가지고서 적의 남침 공격을 좌절시키기 위해 견고한 방어진을 구축하는 한편, 국련 항공기의 포 지원하에 적의 남하 주력부대를 보현산 이북에서 저지, 섬멸할 계획이었다.
(三) 적의 전투서열 및 병력 장비
(1) 적의 전투서열
괴뢰군
제2군단 군단장 중장 김무정
제7사단 사단장 미상
제8사단 사단장 미상
제15사단 사단장 소장 조광열
제766부대 부대장 오진우
(2) 적의 병력 및 장비
(가) 병력 24,000명
(나) 장비
45밀리 대전차포 39문
76밀리 유탄포 30문
82밀리 박격포 40문
120밀리 박격포 20문
122밀리 유탄포 18문
전차 5대
장갑차 3대
(四) 아군의 전투서열 및 병력 장비
(1) 아군의 전투서열
제1군단 군단장 육군소장 김홍일(8월 30일까지)
육군준장 김백일
수도사단 사단장 육군대령 백인엽
기갑연대 연대장 육군대령 유흥수(8월 15일까지)
육군대령 백남권
제18연대 연대장 육군대령 임충식
제8사단 사단장 육군대령 최덕신(8월 21일까지)
사단장 육군대령 이정일
제16연대 연대장 육군중령 유의준
제10연대 연대장 육군대령 고근홍
제21연대 연대장 육군대령 김용배
제5연대 연대장 육군중령 최창언
제3연대(1개 대대 병력 참가)
군단 직할
유격연대 연대장 육군중령 김용주
강원도 경찰 제3대대, 제5대대
(2) 병력 및 장비
(가) 병력 약 7,700명
(나) 장비
60밀리 박격포 84문
81밀리 박격포 52문
57밀리 대전차포 16문
3.5인치 로켓포 37문
2.36인치 로켓포 130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