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사변 육군전사 3권(123)

in KWH 한국전쟁사12 days ago (edited)

제3항 신령~팔공산 부근 전투

8월 30일의 정황(부도 제62 참조)

적 제8사단은 동부 매성동 방면에 약 2개 연대 병력과 포 15문, 전차 3대, 중부의 모산동 방면에 약 1개 연대 병력과 포 6문, 서부의 효령 방면에 적 제1사단이 포 25문, 전차 다수로써 각각 전일에 계속하여 강력한 침투전을 기도하였다.

아군은 서부의 제1사단이 미 제1기갑사단에 전투지대를 인계하고 중부 지구 제6사단으로 이동 중이었으며 제6사단은 제10연대를 원대 복귀시켰다.

기갑연대는 적과 대치한 채 피아 진퇴가 없었으나 제5연대 제2대대는 어젯밤 24:00 이래 827고지에 침입 중인 적 1개 대대 병력으로부터 강력한 화력을 얻어 미명 655고지로 철수하였다. 제1대대는 318고지 전방에서 경미한 교전을 하였을 뿐이었다.

우측 제7연대 제2대대는 전방 211고지 동북 능선에 일부 병력을 추진 배치하였고, 제3대대는 284고지에서 접촉 없이 방어 임무를 수행 중이며 사단 포병대는 가호동에 3문, 백학동에 3문, 남방동에 4문을 각각 배치하여 이 3개 연대 정면의 적을 지원하였다.

한편, 중부의 제2연대는 04:00 제3대대가 어젯밤부터 침공해 온 적을 370고지 일대에서 격퇴시켰으나, 우측 제1대대는 화전동으로 약간 철수한 다음, 제2대대와 조림산에 침입하는 적을 저지하고자 하던 바 이에 우측 정면에서 적 약 1개 대대 병력으로부터 공격을 받아 21:00까지 격전을 전개하였다.

동부의 제19연대 제3대대는 조림산 서남 사면에서 월산 동남 사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15연대 제2대대와 더불어 조림산을 방어하였으며, 제1대대는 여덕동, 제2대대는 723고지 일대에서 각각 인각동(麟角洞)으로부터 포 4문, 전차 2대의 지원 하에 침입해 온 적 1개 대대 병력과 10:00 현재 교전 중이었다.

한편, 제15연대(-1)는 동부로부터 이동 완료 즉시 제1대대는 견봉(甄峰), 제3대대는 모고산(姥姑山) 일대로 각각 진출 배치하였고, 제8연대 제2대대는 괴산동(槐山洞) 좌우 고지 일대에 배치되어 화산 방면으로 침입을 기도하는 적에 대비하였다.

한편, 사단 포병대대 C중대는 화남동에 포 6문을 배치하여 제19연대 전면을 지원하였다.

8월 31일의 정황

군단 작명 제22호에 의거 제1사단은 사령부를 신원동에 설치하고 제11, 제12연대로 하여금 진지를 인수하고자 하였으나 작일 야간 이래 서부에 대한 적의 압력이 급증하여 558 및 527고지를 피탈 당하였으므로 군단 작명 제26호(부록 제69 참조)에 의거 제5연대 및 기갑연대와 협동으로 13:00 공격을 개시하였고, 제12연대는 우측 제7연대의 진지를 인수하였고, 제17연대는 신령으로 이동하였다.

이때 중부의 제2연대는 작일의 선에서 공방전을 계속 중이며 우측 제9연대에서는 제3대대가 제15연대 제2대대와 작일에 이어 조림산 및 북방을 지향하고 공격하였으나 13:00 현재 각각 8부 능선까지 진출하자, 전진이 돈좌됨으로 원위치로 복귀하였다. 한편, 제15연대 및 괴산동 일대에 배치한 제8연대 제2대대 정면은 평온한 편이었다. 그러나 적은 야음을 이용해 화산으로 침투하였다.

Coin Marketplace

STEEM 0.13
TRX 0.24
JST 0.030
BTC 81922.36
ETH 1628.51
USDT 1.00
SBD 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