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왜 미술은 ‘개밥의 도토리’가 되었나? (#3_교육에 있어서 미술의 현실과 약간의 제안, 그리고 마무리)

in #kr7 years ago

네 그런 면은 정말 부럽습니다. 하지만 뭐 그런 미국에서도 대학을 중퇴하고 실리콘밸리로 향한 수많은 사업가들이 있는걸 보면 뭔가 문제가 있긴 있을거란 생각이 들긴 하지만요.

우리나라 사교육에 대해 말하자면 뭐... 이것도 역시 끝이 없을거 같아요.
아이들이 다니는 미술학원의 목적은 주로 미술대회 상을 받기 위해서 혹은 높은 점수를 받는 방법을 효과적으로 배우기 위해서 입니다.
저는 주변에 진심으로 말씀드려요, 그런 학원이라면 그냥 아예 안보내시는게 낫다고 말이죠... 미대입시 때문에 가는 학원도 정말 필요 악(?) 인데... 아이들 재능을 그렇게 이상한 목적으로 간섭하고 재단하는게 가슴아플 뿐입니다.

그냥 같이 놀아만 줘도 충분할텐데.. 그런 선생님 찾는것도 쉽지 않은 현실이다 보니 적절한 사교육이라는 분야를 찾기조차 어렵습니다.

Sort:  

대학은 직업교육 기관이 아니죠. 그러니, 창업할 사람은 대학을 굳이 졸업할 이유가 없는 셈이고요. 대학교육의 일차목표는 critical thinking 을 훈련하는 거죠. 대학에 오기전에 이미 스스로 세계관과 철학을 이루었다면, 굳이 대학에서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고요.

오히려, 대학졸업장이 없어도, 인맥을 만들 수 있고, 직업을 가질 수 있는 그런 문화가 더 우수하다고 볼 수도 있죠.

그렇게 될 수 있다면 정말 좋겠죠!

유럽에는 독일처럼 대학까지 아예 무료로 교육을 제공하는 나라도 있는가 하면, 북유럽 쪽에서는 미리미리 취업을 할 학생들과 공부(말씀하신대로 창의적 사고를 통한 학문적 연구가 되겠죠)를 할 학생들을 구분해서 진로를 설정하게 하고, 취업을 하던 공부를 하던 월급이라던가 인간적인 처우가 크게 차이나지 않거나, 차이가 나더라도 세금을 통해 조정을 하고 있기 때문에 "대학을 나오지 않아 내가 이 모양으로 산다" 등의 생각은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더군요.

우리나라 현재의 사회적 분위기로는 언젠가 가능해 질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믿거나 말거나 인데요. 제 친구들이나 주변을 보면, 아이들 출가를 시킬때 즈음에 다시 근황을 알게 되는데, 학교 성적과는 자산이나 행복( 객관적이진 않지만)의 정도는 관계가 없더군요.

그래서, 혹시 한국인들이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게 아닌가? 혹은, 모두 가면을 쓰고 있거나, 집단 최면에 빠진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의외로 한국이 ( 하향평준화 인지는 모르지만) 현금 보유량은 평등해 진거 같아요. 부동산에 다 묶여있어서 그렇겠죠. 그런데, 부동산 이라는 것이, 환금성이 떨어지니까, 실제 생활에서는 크게 차이가 나는 것 같지 않아요.

재산의 정도와 행복의 척도는 다른것이 분명한듯 해요. 그렇게 힘들다는 예술가들도 직업이나 삶의 만족도 행복도 등은 일반인 보다 낫다고 하더라고요.

그리고 집단최면... 저도 가끔 그런생각 해봅니다. 정말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이 한두개가 아니라서요 ㅠㅠ 그냥 남들한테 보여지는 것에 지나치게 신경을 많이 쓴다는 느낌도 많이 들고요.

사회심리학이 밝혀주기를 바랄 뿐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남에 대해 하루에 과연 몇분이나 생각을 하는지도 회의적입니다. 남을 의식하게 되면, 이타적으로 살아가게 될텐데요. 한국인들의 삶이 과연 남의 시선을 의식하는 것 만큼, 이타적으로 보이지는 않거든요.

네에.. 저도 그런 모순들에 대해 궁금해 하던 차입니다. 누군가 연구하고 있겠지요. 이미 발표되었을지도 모르고요.

아, 남들에게 보여지는 것으로 이타적 삶을 살게 된다는 것은 또다른 해석이 가능한 부분이네요.
한국인들이 남의 시선을 의식하면서 이기적이고 개인적으로 되어가는 이유는, 남과 다르면, 실제로는 남보다 약하거나 힘이 없으면 도태된다는 왕따문화에서 오는것 같아요. 이 역시 교육과 큰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고요. 자세한 내용을 알지 못하면서 남들이 욕하면 우르르 따라가서 욕하는 마녀사냥 식의 행동 역시 이런데서 기인한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는 물론 fake 뉴스라던가 이런 것들을 악용하는 안타까운 현실도 포함되어 있겠지요.

외국인들이 남들의 시선을 의식해서 이타적 삶을 사는 것에는 법적인 규제가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술시장 내에서 유럽의 어느 갤러리가 한국에 진출해서 좋지않은 행동을 한 뒤 한국지점을 철수하고 돌아간 일이 있었습니다. 대외적으로 그 갤러리는 나쁘지 않은 상거래를 하고 있었는데, 한국에서 왜 그런 일을 했을까 여러 논란이 있었습니다. 상행위에 있어서 도덕적이지 못한 행동을 하는 관련 규제가 없어서 그랬을것 같다는 추측이 나왔는데, 유럽에선 이런 행위를 하다 걸리면 바로 퇴출이고 비난을 받기 때문에 절대 그러지 않는다는 거에요.

해외에서 사업을 하다가 소위 말해 사기를 치고 부도를 낸다던가 하면 법적인 제재를 당한다던가 도덕적으로 비난을 면치 못하는데 반해, 국내에는 2-3년만 지나면 아무일 없던 것처럼 다시 활개를 치고 다니는 일들이 상당하다고 합니다.

즉, 남들에게 보여지는 자신의 이미지에 대해 걱정하는 부분이, 도덕이나 법으로 인해 제재받기 전에 스스로 좋은 이미지를 관리하는 부분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 아니라, 부를 이뤄내고 권력을 행사하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이 다르지 않나 생각합니다.

저 역시 그런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고 사회나 법규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전문 분야가 아니다보니 잘 알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좋은 의견들 감사드립니다 ^^

Coin Marketplace

STEEM 0.18
TRX 0.16
JST 0.030
BTC 68414.34
ETH 2648.37
USDT 1.00
SBD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