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j.json 의 rpcAddress 는 Fixed IP 또는 DNS 등록명 사용을 권장

in #kr7 years ago

첫 post 인데 의도치 않게 storj 이야기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과심도 고민도 하지 않을 내용이지만, storj를 시도해 본 사람 중 누구는 궁금해 할 수 있는 내용일지 모른다. 기록을 목적으로 남긴다.

storj.json 의 rpcaddress는 internet의 fixed IP를 사용하거나, DHCP환경이라면 DDNS 등록명을 사용한다.

내 경험은 이렇다.

대략 6개월 쯤 전에 집에서 사용하는 PC에 storj share 를 설치했다. 오랫동안 봐 왔던 느려터진 freenet 의 새로운 대안이 될까 싶은 생각에 어떻게 생겼는지 살펴 볼 목적이 설치 이유였다. blockchain의 mining은 몇몇 코인의 pool에도 발을 담가보고, 오랜 기간 발전상을 봐 왔고, 코인으로는 수익을 내고 싶은 생각은 없었다. 단지 재미가 주된 목적이다.

가족 모두가 사용하는 PC라서 당연히 windows 를 사용하고 있고, 여러 계정을 사용하기에 gui 버전을 대신해 storj-cli 를 설치하고 start script를 만들어 PC가 boot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해 놨다.

처음 setup 과정에 port-forward 같은 문제는 그리 문제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storj share가 실제 동작하는지 기다리는데는 인내심이 필요했다. 수 많은 글들에서 shard가 늘어나지 않는다는 글을 봤기에 내 경우도 어딘가 setup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 판단하고 이런 저런 설정을 변경해 가면 테스트를 했었다. 그 중 여러 번 눈에 들어온 내용이 storj.json 에 설정하는 rpcaddress 값을 DNS 등록명이 아니라 실제 IP를 사용하라는 글들이었다. 흠... 그런데 우연히도 그 값을 IP로 변경하고나서 첫 shard가 들어왔다.

이렇게 설치된 storj share는 sjcx 에서 storj 로 token이 변경됐고, 내 wallet에는 token이 매달 transfer 되어 누적되기 시작했다.

그렇데 얼마전 쯤 들어온 storj token이 뚝 떨어져 이상하다 싶어 살펴보니, alloc 이 전혀 없고, storjstat에는 node의 port status가 막힌 상태로 나타난다.

internet ip가 혹시 바뀌었을까하고 의심했고, 역시나 IP가 바뀌었다. IP가 바뀌었는데도, storj share의 status는 bridges에 connected 상태였고, daemon status는 on 이었으니 IP 가 바뀌어 문제가 있다고는 gui 만으로는 의심되지 않았다. 단지 오랜 기간 새로운 shard 늘어나지 않았다는 점 하나 뿐이다.

storj-cli 의 storj.json 을 수정하려다 문득 생각드는 것이 어느 순간 또 변경될 수 있는데 매번 수정해줘야하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real IP를 사용하라는 글들을 무시하고 다시 DDNS 등록명을 사용해 봤다.

DNS 등록명으로 변경 후, daemon을 restart 시켜주고, storjstat에 node를 새로 등록해 준 뒤, 얼마 되지 않아 새로운 shard 들이 들어오기 시작한다. 결국 인터넷에 떠도는 잘못된 정보를 보고 IP를 직접 사용한 것이 원인이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1
TRX 0.20
JST 0.034
BTC 91054.84
ETH 3119.60
USDT 1.00
SBD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