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마스터노드 실험이 기대되는 이유

in #kr7 years ago

최근 @clayop 님이 마스터노드 실험을 추진한다는 을 읽었습니다. 얼마전 스팀 마스터노드에 대한 의견을 올리신 것도 재밌게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스팀 생태계에 마스터노드가 필요한가?"와 같은 근본적 질문과 별개로, 이 실험은 그 자체로 가치가 있어 보입니다. 또, 그 끝에 어떤 결과가 있을지 굉장히 기대가 되는군요.

이 마스터노드 실험은 생각보다 재밌는 점이 많습니다. 어떻게 보면 심리학 실험과도 닮아 있습니다. 실험실은 한국 스팀잇 커뮤니티, 피험자는 한국 유저들, 그리고 그들 앞에 놓인 물건은 마스터노드입니다. 결코 작지 않은 하나의 커뮤니티가 어떤 행동을 보일지, 무척이나 흥미롭고 기대가 됩니다.


먼저 실험실 외관부터 이해해볼까요?

마스터노드 기획 취지


마스터노드는 다들 아시다시피 일정 수준의 코인(예: 1만 스팀)을 가지고 있으면 이자를 지급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사실 보통의 마스터노드라면 코인 보관 이외에도 생태계에 기여하는 바가 있어야합니다만, 스팀 마스터노드는 그런 것이 따로 없습니다. 단순히 들고만 있어도, 은행 이자처럼 코인을 지급해주는 형태로 비춰집니다.

그런 장치가 왜 필요할까요? 이는 스팀 생태계 설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만일 제가 스팀만 사고 아무 활동도 하지 않을 경우, 저는 필연적으로 연 8%정도의 손해를 봅니다. 이 손해의 근원은 매년 발생하는 스팀 인플레이션에 있습니다. 이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서는 저(스팀 투자자)도 스팀 커뮤니티 활동을 해야합니다.

저는 스팀코인을 스팀잇 주식인줄 알고 샀습니다. 그런데 이게 알고보니 계속 늘어나는데도 저한테는 주질 않습니다. 저도 달라고 했더니 SNS 활동을 하라고 합니다. 이것은 그리 달가운 이야기가 아닙니다. 자연스럽게 투자자들에게도 일종의 방어기제가 생깁니다. 경우에 따라 다단계 아니야?라는 생각도 들 수 있습니다.

마스터노드는 이런 수동적 투자자들을 위한 장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에게 인플레이션은 굉장히 성가신 장치입니다. 가만히 있으면 손해를 보니까요. 더 많은 투자자들을 포용하기 위해, 인플레이션에 대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옵션 마스터노드를 도입하자는 것입니다.


누군가에겐 시간이 가장 중요한 가치일 수 있습니다

마스터노드 수익의 근원


그런데 여기서 머리가 아파오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럼 마스터노드에게 줄 이자는 어디서 오냐는 것이지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스팀잇 커뮤니티가 가져가는 보상 파이에서 일부 떼서 주는 것입니다. 저자 보상 파이에서 몇%, 큐레이션 보상 파이에서 몇% 떼서 주면 됩니다.

이렇게 해서라도 투자자의 풀을 넓히는 것은 결국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일입니다. 커뮤니티로 더 많은 돈이 흘러들어오는 것을 의미하니까요. 단기적/장기적으로 코인의 가격상승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이는 저자도 큐레이터도 두팔 벌려 환영할 일이기는 합니다.

그러니 아무도 불만을 갖지 않을까요? 안타깝게도 분명 불만을 가진 저자나 큐레이터가 생길 것입니다. 저자는 열심히 글을 쓰고, 큐레이터는 눈 부라리며 좋은 글을 찾아내 보상을 얻었습니다. 그런데 옆에 마스터노드는 베짱이마냥 예금만 하고 누워있었더니, 보상을 받는군요. 배가 아파옵니다.


도둑처럼 비춰지기도 합니다. 남은건 전쟁뿐이다!

마스터노드 실험


그래서 실험을 해보기로 했습니다.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투자자의 풀을 넓히기 위해서, 본인들이 모은 보상을 얼마나 많이 후원(환원)해줄지 측정해보기로 했습니다. 후원된 금액들은 고스란히 마스터노드들에게 비율에 맞추어 배분되게 됩니다. 개미들이 본인이 모은 식량 중 일부를 후원했고, 그 식량은 베짱이에게 배분됩니다.

개미들이 더 많은 식량을 생태계에 환원할 수록 더 많은 베짱이들이 모여듭니다. 베짱이들의 숫자가 늘어날 수록 개미들의 쌀 한톨의 가치는 올라갑니다. 결국 개미들도 이득을 보고, 베짱이도 이득을 봅니다. 이를 내다본 개미들은 본인의 식량을 환원하는 것에 주저함이 없습니다. 후원된 금액의 양이 늘어납니다.


개미와 베짱이가 힘을 합쳐 퍼즐을 맞추면, 스팀 코인의 가격은 오릅니다

이 실험이 던지는 메시지


여러분들은 베짱이 투자자들의 숫자를 늘리기 위해 얼마나 많은 후원을 할 수 있으신가요?

이 메시지는 꽤 묵직합니다. 후원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본인이 쓴 글에 대한 보상 중 일부를 후원하면 됩니다. 그 액수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플랑크톤이든 돌고래든 고래든 상관없이 참여가 가능하죠. 경우에 따라 고래보다 플랑크톤 스타작가의 후원이 더 클 수도 있습니다.

결국 커뮤니티 발전을 위해 작가들도 할 수 있는 일이 생긴 셈이네요. 스팀 코인 가격상승이 가입자 수를 늘린다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우리는 그동안 우리가 커뮤니티 발전을 위해 고래들에게 공정하고도 건강한 큐레이팅을 요청했습니다. 어쩌면 이제 스타작가들도 비슷한 심판대에 오르게 될지도 모르겠군요. 흥미로운 일입니다.


자발적 납세라고나 할까요?

마치며: 한계는 있다


글을 작성하다보니 생각보다 더 재밌는 아이디어입니다. 처음 제안된 방식보다 훨씬 더 좋은 방향으로 발전한 것 같네요. 저도 후원에 미약하게나마 참여해야겠습니다. 좋은 취지의 실험이라는 점에서 응원하고 싶네요. 하지만 떠오르는 약점이 있습니다. 역시 마스터노드의 가장 큰 적, 스팀파워 임대사업이 걸림돌이겠지요.

사실 스팀파워 임대사업을 스마트계약으로 공식 지원해주고, 활성화시킨다면 마스터노드와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수동적 투자자들은 파워업을 하고 스팀파워 임대를 해주면 되니까요. 그에 따라 얻는 이자를 가져가면 됩니다. 따라서 마스터노드가 실효성을 가지려면, 스팀파워 임대 이자와 경쟁 가능한 수준의 보상을 보장해줘야합니다.

제 사견으로는 스팀파워 임대 사업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더 편리할 것 같다는 생각은 듭니다. 다만 이 경우 악용될 여지가 많겠지요. 온갖 종류의 어뷰징이 판을 칠 것입니다. 임대해온 스팀 파워이니, 그들은 스팀 가격에 관심이 없을테고 같은 기간동안 최대한 많은 보상을 챙기려고 할테니까요.

그러거나 저러거나, 글 초입에 말씀 드렸듯이 굉장히 재밌는 실험입니다. 후원 금액이 얼마나 모일지 기대가 되는 부분이군요. 글 재밌게 봐주셨기를 바라며 야심찬 한국커뮤니티 마스터노드 실험에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Sort:  

흥미로운 실험인 것 같습니다.

인플레이션 블럭체인의 가격 방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조치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취지에 매우 공감합니다.

블록체인에서 당연한 과정이기는 한데, 마스터노드 참여가 너무 직설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혹여나 참여에 부정적인 심리를 일으키지 않을까 걱정이 되기는 합니다.

훗 날, 잘 동작하면 스팀과 스달 가격 상승에 기여하게 될 텐데, 그 가격 상승이 마노의 존재 때문이라서, 개미는 마노를 긍정적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인식이 바로 생기기는 어렵지 않을까요?

반면에, 마노의 존재는 대자보에 붙어 있다 보니, 자그마한 이슈에도 화살의 표적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둘을 조화시킬 게임의 법칙이 존재한다면 더 좋겠네요.

저는 이 재미난 게임을 고래들의 큐레이팅과 비슷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고래들은 뉴비작가들을 유입시키기 위해 본인 보팅파워를 최대한 고르게 사용하려고 애씁니다. 무상 파워 임대도 해주지요.

반면에 스타작가들은 적은 돈을 투자하고도 돈을 많이 벌어갑니다. 그 돈의 출처는 결국 고래들의 큐레이팅이지요. 가까운 예로 해외쪽으로 눈을 돌려보면 차트분석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하루에 약 2000$의 보상을 쓸어담아가십니다. 어마어마하죠.

여기에 마스터노드 개념을 넣으면, 스타작가들에게도 책임이 주어집니다. "많은 보상을 받았다면 사회에 환원하여 고래들을 더 모으는 것에 힘써보자." 그게 실제 SNS 활성화에는 크게 도움이 안되는 베짱이 고래라도 말이죠. 그게 현 마스터노드라고 불리는 개념이라고 봅니다.

솔직히 네이밍을 바꿔야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는 합니다. 이건 마스터노드가 아니라 노블레스 오블리주 같은 개념이라고 봅니다. 투자자들이 스팀 주식에 대한 배당금을 받는 개념이 되겠네요.

스팀 채굴이 DPOS로 알고 있는데 한국에는 증인 한 분 계시는 걸로 알고 있어요

흠 마스터 노드라... 개인적으로 반대입니다 ㅎㅎ

스팀 커뮤니티의 가치는 결국 좋은 글들이 모여서 그 가치를 만들어나가니깐요.

거기서 벗어난다면 다른 코인과 다를 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Clayop님께서 증인이시구요(21인중 1분) asbear님도 보조증인으로 계십니다.(얼마전에 되셨지요 ^^)
저도 마스터노드에 대하여 회의적인 입장인데요 무작정 도입하는것보다 테스트를 통해 미리 알아졸 수 잇다면 좋겟지요. 다만 스테이킹 하시는 분들이 큐레이션보상 및 저자보상가지 챙기게 된다면 너무 큰 이익을 주는 게 아닌가 싶어 우려가 됩니다.

맞아요 그 점에 동의합니다... 헤쳐나가야할 점이 많군요.

말씀하신대로 투자자가 살 수 있는 유인 효과도 있어야하는 것은 동의하는데 여러 가지 고려해야할 점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도 처음에 그렇게 생각했는데요. 그래서 이번 실험이 더 흥미롭습니다. 마스터노드의 보상은 자발적 후원자들이 모은 금액으로 결정됩니다. 결국 커뮤니티가 얼마나 많은 돈을 모아줄 것인지가 문제지요.

동의가 일어나지않으면, 후원금액이 줄어들게됩니다. 강제가 아닌 선택이라는 점에서 재밌는 것 같아요. 스타작가들의 후원=고래들의 디클라인/셀봇자제와 비슷하다고나 할까요. 강요하진 않았지만 자발적참여.. 재밌습니다^^

덧붙여서 마스터노드보다는 다른 이름이 더 어울릴 것 같네요 ㅎㅎ 딱히 아이디어는 없지만, redistribution of reward 이런느낌으로 하면 어떠려나요.

핵심을 확 폭로하시는군요 ㅎㅎ 좋은 글 감사합니다. 꿈보다 해몽이 좋은..건 아니고 제가 의도한 바가 딱 이겁니다 (....?!)

진지하게 말씀드리자면, 저자보상을 활용해서 그 일부를 투자자 보상으로 돌리는 방식을 구체화한 것인데요, 그 이유는 저자보상이 상당히 쏠림현상이 있기도 하고, 또한 말로만 스팀 가격상승을 외치는 보상 어뷰저들에게도 뜨끔함을 주고 싶었습니다. 물론 저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증인보상과 저자보상 일부를 후원하고 있고요.

물론.. 그래도 이렇게 밑도끝도 없이 들이민건 커뮤니티에 대한 믿음이 있어서이기도 합니다 ^^;

나름의 뇌피셜을 바탕으로 써내려간 소설(?)인데 핵심이였다니 다행입니다.
이 시스템이 계속 곰곰이 생각해보니 좋은점이 많겠더라구요. 저자보상의 쏠림에 대한 커뮤니티의 위화감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탈출구를 마련해줄 것이라 생각되구요. 어뷰저들에 대한 견제 역할도 일정부분 할 수 있을 것 같아 좋은 것 같습니다.
좋은 결과 있었으면 좋겠네요. 월 보상 1%를 향해 저도 같이 힘써보겠습니다!

역시 멋진글 ! 필력이 대단하십니다. 좋은글 잘보고갑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yann03님께서 이 포스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요. 리스팀을 해주셨군요~!

오늘도 조금 배워갑니다

즐거운 일요일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인사가 늦었네요. 좋은 밤 되세요 ^^

또 하나 배워갑니다. 매우 흥미로운 실험이네요. 2011년에 소위 코인 바닥에 들어와서 어느 정도 지적인 매너리즘에 빠져있었는데 스팀 들어온지 한달도 안되어서 새로운 두뇌를 자극하는 요소들이 많이 생겨서 행복해 하고 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하고 많이 배웠습니다.

제 부족한 글이 샴페인님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했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zaedol님께서 이 포스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요. 리스팀을 해주셨군요~!

@neogia님께서 이 포스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요. 리스팀을 해주셨군요~!

@partykim님께서 이 포스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요. 리스팀을 해주셨군요~!

Coin Marketplace

STEEM 0.24
TRX 0.24
JST 0.039
BTC 104008.21
ETH 3262.51
SBD 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