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부과 영향과 시장의 변동성
내년 Global 투자은행의 수익은 트럼프의 親기업 정책 등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주요 투자은행에 의하면 트럼프 시대는 美경제가 유망하고 관세위협은 대응이 가능하며 Global 외환시장은 G10의 통화정책회의 전후하여 변동성 확대에 직면할 소지가 있다. 그리고 美관세부과 영향은 부정적인 견해보다 긍정적 측면의 논의가 요구된다. 한편 중국의 경제 활성화에는 완화적 통화정책 이외에 민간부문개혁이 필요하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투자은행의 수익전망
내년 전 세계 투자은행 수익은 전년대비 5.7% 증가한 3,160억 달러(448.7조원)를 예상한다. 특히 트럼프 신정부의 친(親)기업 정책으로 인한 기업 간 인수합병(M&A) 부문과 기업과 정부부채 매각증가에 따른 관련 은행의 수익급증이 큰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증권거래부문 수익증가와 유럽 역내 국가들의 국경 간 거래 및 투자확대가 예상된다. 이 외에도 신용 및 신흥시장의 거시 관련 상품수익은 전년대비 6%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반면 금리 관련 상품수익의 3.5% 감소 예상 및 지정학적 Risk는 위험요인이다.
美경제의 관세위협 대응
블룸버그가 개최한 「Women, Money and Power」 컨퍼런스에서 주요 투자은행은 트럼프 시대에 국가신뢰도가 높고 기업가정신이 우수한 美경제가 가장 유망하다고 평가한다. 또한 규제완화 등으로 민간 신용시장의 성장이 예상된다고 분석한다. 한편 트럼프 신정부는 고율관세 부과를 무역협상의 도구로 사용할 가능성이 크기에 실제 관세 관련 영향은 우려보다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Global 외환시장 변동성
전일 호주 중앙은행을 필두로 향후 10일간 연준 등 G10의 중앙은행들은 연이어 통화정책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런 상황은 트럼프의 대선승리로 인한 미국의 무역정책 불확실성, 지정학적 위험고조 등으로 이미 작년 4월 이후 최고수준인 G10 통화의 내재(內在) 변동성을 더욱 높일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외환시장의 변동성 심화가 예상되는 시기에 투자자들은 Global 자산포트폴리오의 환율노출에 대한 헤지(Hedge)가 필요하다. 아울러 트럼프 정책 등으로 인해 2025년 외환시장전망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美관세부과 영향
일반적으로 관세부과가 수입(輸入)물가를 높여 소비를 위축시키는 등의 부정적 효과를 유발한다는 인식이 팽배(澎湃)하다. 그러나 생산자 측에 보조금을 제공하는 것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즉 관세부과가 소비자 측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도 생산증가를 통한 소비확대를 유발하는 소득이전 효과가 발생하면 성공적인 정책으로 평가한다. 관세정책의 성패는 국내생산 증가 및 이에 따른 소비와 경제의 동반성장 가능여부가 관건(關鍵)이다. 이에 경제학자들은 모든 관세정책에 대한 일괄적인 반대의견보다는 이와 관련된 잠재적 장단점을 균형 있게 논의하여 실효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中경제 활성화 요건
中지도부는 통화정책 기조를 신중함에서 적절히 온건함으로 선회하고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선언하여 경기회복 기대가 고조된다. 이에 10년 물 국채금리(1.92%)는 사상 최저수준으로 하락한다. 다만 그동안 시행된 부동산 안정화 조치, 대출규제 완화와 같은 정부정책만으로 경기를 뒷받침하기에는 역부족이며 민간부문 성장을 통한 생산성 증대 등이 필요하다. 당국은 미국의 고율관세 부과에 대비하여 통화완화 정책을 추진할 수 있겠지만 이는 과도한 국채가격 상승, 가계의 실질구매력 저하, 자금유출 등을 유발할 소지가 있다. 이에 생산성, 임금, 국내소비 등을 촉진할 수 있는 민간부문 개혁이 중요하다.
中수출입 11월 실적
올해 11월 中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6.7% 늘어난 3,120억 달러로 2022년 9월 이후 최대수준을 기록한다. 이는 트럼프 취임 전 수출을 확대하려는 기업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다만 전월(12.7%)대비로는 증가세가 둔화한다. 한편 수입은 전년 동월대비 3.9% 줄어 전월(−2.3%) 대비 감소세가 심화한다. 이는 국내경기가 여전히 부진하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