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 인플레이션 입장과 경제지표steemCreated with Sketch.

in #kr5 days ago

포스팅이미지.png
ECB(유럽중앙은행)에선 인플레이션 목표의 달성은 가능을 주장하나 일부는 과도한 낙관론을 경계한다. 美연준에 의하면 통화정책은 경제여건을 고려 시 적절하지만 인플레이션 위험은 존재한다. 미국의 경기침체 가능성을 상향하고 금리인하도 예상한다. 중국의 올 3월 제조업 및 비제조업 PMI(구매 관리자지수)가 경기회복 기대감을 반영하여 모두 전월대비 상승한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 ECB 인플레이션 입장

ECB(European Central Bank) 주요 인사인 귄도스 부총재는 對美무역전쟁으로 성장률 전망이 하향조정되고 있는데 인플레이션도 떨어져 목표달성 가능을 예상한다. 반면 독일 중앙은행 총재인 나겔 위원은 인플레이션 목표의 달성을 지나치게 낙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최근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ECB 라가르드 총재에 의하면 물가안정은 끊임없는 싸움이며 무역전쟁 등 통상정책이 많은 불확실성에 직면한 상황이지만 물가를 계속해서 낮은 수준에서 유지해야 한다. 이탈리아 중앙은행 총재 파네타 위원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싸움이 끝나지 않았기에 금리인하에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3월 獨소비자물가

독일의 올해 3월 소비자물가 연간 상승률은 2.3%로 전월(2.6%)대비 둔화한바 이는 작년 9월 이후 6개월 래 최저수준이며 이는 ECB의 금리인하 기조를 뒷받침한다. 시장에서는 주요국의 소비자물가를 고려할 시 유로 존(유로화 사용 20개국)의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시장예상 하회를 전망한다. 한편 2월 소매매출은 전월대비 0.8% 증가한다.

  • 美인플레이션 위험

美연준 주요 인사인 뉴욕 연은 윌리엄스 총재에 의하면 경제여건을 고려한다면 현재의 통화정책은 적절하며 다만 정부의 관세정책으로 인플레이션 위험이 존재한다. 美바칸 리치몬드 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에 따라 금리인하 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한편 관세는 물가상승 압력의 증가 혹은 고용둔화 등 2개의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고 지적한다.

  • 3월 美시카고 PMI

미국의 올해 3월 시카고 PMI(구매 관리자지수)가 47.6으로 전월(45.5) 및 예상치(45.2)대비 높은 수준을 기록한다. 16개월 연속 확장의 기준인 50을 하회하나 작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나타내 중서부 제조업 활동의 개선이 이어지고 있는 거로 평가한다. 美댈러스 연은 제조업지수는 −16.3으로 전월(−8.3)대비 하락한다. 세부항목 가운데 임금 등이 부진하다.

  • 美금리인하 예상

Goldman Sachs가 美경제가 1년 이내에 침체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을 20%에서 35로 상향하고 이는 무역전쟁 격화 및 이에 따른 소비자 심리의 악화를 반영한 것으로 설명한다. 이를 고려하여 연말 S&P500지수의 목표를 하향조정(6,200→5,700)하고 연내 금리인하는 7월, 9월, 11월 등 총 3회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 중국의 3월 PMI

中국가통계국에서 발표한 3월 제조업 PMI(Purchasing Manager` Index)는 50.5으로 전월(50.2) 및 예상치(50.4)대비 높은 수준을 기록한다. 비제조업 PMI 역시 50.8로 전월(50.4) 및 예상치(50.5)를 상회한다. 이는 당국의 경기부양책으로 인한 경기회복 기대감을 반영한다.

  • 日금리인상 기대의 지속

올해 3월 日도쿄 소비자물가(CPI, Consumer Price Index)의 연간 상승률은 전월대비 상승(2.8%→2.9%)하고 식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치 경우도 전월대비 높은 수준을 기록한다(0.8%→1.1%). 이와 관련 시장에서는 추가 금리인상 기대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14
TRX 0.25
JST 0.031
BTC 90839.11
ETH 1670.60
USDT 1.00
SBD 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