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트럼프 거래와 인플레이션 문제

in #kr2 days ago

포스팅이미지.png
美트럼프 거래는 ˋ25년 반전(反轉)에 직면할 수 있으며 신흥국 투자는 긍정적이다. 그리고 올해 1월 美소비자물가가 전월대비 상승세를 강화하여 美연준의 연내 금리인하 기대가 약화한다. 또한 美인플레이션 둔화 폭은 시장의 예상보다 더욱 클 가능성이 존재한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 트럼프 거래 성황 여부

작년 금융시장에서는 美금리상승과 달러화 강세에 투자 비중을 늘리는 트럼프 거래가 만연(蔓延)한다. 하지만 금년에는 미국이 촉발(觸發)한 무역 전쟁이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이 부각되며 금리하락과 달러화 약세가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달러화 가치는 연 초 이후 0.4% 떨어진 상황이고 10년 물 美국채금리도 4.8%대에서 4.54%까지 하락한다. 또한 지금까지의 트럼프 정부의 관세가 당초 우려보다 덜 공격적이라는 의견도 이런 현상에 일부 기여한다. 한편 신흥국 자산에 대해서는 고평가의 美달러화, 트럼프 무역 관련 우려의 선반영, 경제성장 지원을 위한 금리인하 가능성, 미국과 비교할 시 높은 실질금리 등으로 긍정적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 1월 美소비자물가

올해 1월 소비자물가(CPI, Consumer Price Index)의 연간 및 월간 상승률은 3.0%, 0.5%로 전월(각각 2.9%, 0.3%) 및 예상치(각각 2.9%, 0.4%)대비 높은 수준을 기록한다. 특히 월간 상승률은 ‵23년 3월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한편 근원치의 연간 및 월간 상승률은 3.3%, 0.4%를 나타내 전월(각각 3.2%, 0.2%)과 예상치(각각 2.9%, 0.3%)를 상회한다. 세부항목별로는 식품(+0.4%), 주거비(+0.4%), 가솔린(+1.8%) 등이 상승압력으로 작용한다. 특히 계란가격이 15% 이상 올라 식품물가 상승을 주도하고 주거비는 전체 상승분의 30% 차지한바 이는 LA산불 여파로 호텔 숙박비가 증가한 때문이다. 반면 의류가격은 Pandemic 이후 최대 폭으로 하락한다. 시장에선 일부항목에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아진 상황이나 이는 연 초 계절적 요인에 기인한 일시적 현상으로 추정한다. 하지만 물가가 더 이상 결정적 수준까지 하락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관세인상 등으로 금년 금리인하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전망한다. 한편 CME(시카고상업거래소) Fed Watch는 연내 1회(0.25%p) 인하만을 예상한다. 파월 의장은 물가가 2% 목표에는 가깝지만 도달하지 못한 상황이며 당분간 제약적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발언한다. 美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와 美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물가목표 달성이 지연될 수 있다고 경계한다. 반면 트럼프는 금리인하 필요성을 주장한다.

  • 美인플레이션 둔화 폭

최근 시장의 참여자들은 美연준이 트럼프 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영향을 어떻게 평가할지에 주목한다. 인플레이션 둔화국면에도 불구하고 연준 파월 의장은 ‵21년 이후 물가급등 경험과 정책의 불확실성을 고려해 통화정책에 신중한 모습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예상보다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둔화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관세의 인상 폭이 제한적일 가능성이 있으며 감세·재정·규제 등 정책의 불확실성이 성장의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트럼프 1기 당시 무역정책 자체뿐만 아니라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제조업 지수와 근원 PCE(개인소비지출,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가 하락한 사례가 있었다고 지적한다.

  • 英소비자물가 전망

영란은행(Bank of England) 맨 위원에 의하면 1년 후 소비자물가는 목표에 근접할 전망이다. 최근 일자리가 감소하고 소비자 지출은 약해지고 있다고 평가하고 이에 기업들이 제품의 가격의 큰 폭 인상에 나서기는 어렵다고 지적한다. 소비자물가는 영란은행의 목표에 부합하는 움직임을 나타내고 고용은 비선형적(non-linear) 형태로 감소하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한편 영란은행 그린 위원에 의하면 2% 물가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제약적 금리의 유지가 필요하며 영국의 경기둔화가 수요약화가 아닌 공급제약에 기인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18
TRX 0.24
JST 0.034
BTC 96580.26
ETH 2763.74
SBD 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