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의 붕괴시 시장에 가해지는 영향
UST의 붕괴 이후 스테이블 코인이 가지고 있는 크립토와 Macro Economy적 영향력에 대해 잠시 되짚어보게 됩니다. 알고리드믹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신뢰 부분은 18B UST의 붕괴 이후 다시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그동안 시한폭탄으로 여겨졌던 시총 3위의 테더나 USDC의 경우는 어떨까요?
가장 먼저 들여다봐야할 것은 뱅크런이 일어날 경우 각 프로젝트별로 어떤 형태로 대응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봐야합니다.
▪️ 뱅크런: 자산이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고 느낀 투자자들이 출금을 한꺼번에 하는 행위. 은행의 경우는 지급준비율이 일반적으로 10% 미만이라, 10% 이상의 사람들이 현금을 요구할 경우 지급이 불가함.
▪️ 스테이블 코인의 뱅크런 : 스테이블코인의 경우는 자산의 유동성이 얼만큼 있는지가 중요함. UST의 경우는 담보 자산이 결론적으로는 무한 팽창하는 루나밖에 없어서 결국을 실패함.
▪️ USDT의 경우 유동성 자산 보유가 83.74% 미만이며 그중 36.68%가 기업 어음으로 담보가 잡혀 있음 (테더 공홈 2021년 12월 31일 자료)
▪️ USDC의 경우 유동성 자산 보유가 61%로 잡혀있으나, 만기 90일 미만의 기업어음도 유동성 자산으로 정의함. 즉, 실제 기업 어음의 비율은 확실하지 않음.
▪️ BUSD는 약 96%가 유동성 자산으로 되어 있으며, 역시 90일 미만의 만기성 상품도 포함이 됨.
🔰 개인적인 생각
우선 테더가 지속적으로 시장의 우려를 낳고 있는 이유는 장기 만기성 기업 어음의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상세하게 들여다보면 단기 국채가 약 44% , 기업 어음 (CP)가 31%, 그중 90일 미만이 55% (다른 프로젝트도 이런 CP를 유동성 자금으로 분류), 즉 BUSD나 USDC 기준 CP는 전체 포트폴리오의 약 14% 정도. 은행에 현금은 약 5%정도입니다. 뱅크런이 일어날 경우 5%의 현금을 빠르게 소진후 44%의 단기 국채 현금화를 통해 약 50%까지는 비교적 빠르게 대응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기서 테더의 경우 오딧이 비교적 작은 회사와 테더 자체의 발표에 의존하고 있어서 신뢰도에 대한 시장 의문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두번째로 시총이 큰 스테이블코인인 USDC의 경우는 약 60%가 넘는 유동성 자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런이 일어날 경우 약 38조원의 현금화 요구까지도 비교적 적은 손실로 처리가 가능한 상황입니다. 물론 USDC의 경우 90일 미만의 CP 보유%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시총 9위의 BUSD의 경우는 시총이 이전 UST와 비슷한 17.7B 수준으로 현금성 자산 보유가 90%가 넘는 관계로 사실상 뱅크런에 대한 우려 리스크는 바이낸스의 신뢰를 제외하고는 설계적으로는 거의 없는 상황입니다.
USDT는 선두주자로 그동안 지속적으로 시총을 불려나가고 있었는데, 만약에 테더쪽의 패닉에 의한 언패깅 사태가 일어나게 된다면 그 영향은 사실상 규모 때문에라도 크립토 뿐만 아니라 일반 경제에도 타격이 상당히 크게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만큼 스테이블 코인들이 가지고 있는 기업 어음과 국채등의 비율이 높기 때문입니다. 전반적으로 암호화폐계에서 사용하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조사를 상세하게 할수록 그에 따른 리스크는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의 사용시 분산화된 asset 사용과 장기적인 락업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분명히 필요한 시점으로 보입니다.
👉참조링크 : 스테이블코인 가이드 : https://bit.ly/3yIqHRM
👉참조링크 : 코인텔레그래프 기사 — 테더 focus: https://bit.ly/3wfTuLV
👉원본링크 : https://t.me/jayplaystudy
그래두 최소 담보들은 가지고 있네요..쉽게 무너뜨리기도 어려워보이긴합니다.. 테라처럼 알고리즘 스테이블은 이젠 시장에서 퇴출되야죠(테더도 어음때문에 언젠가 한번은 위기를 겪을거 같단 생각도..)
퇴출하기 전에 제 UST는 보상해주고 퇴출하면 좋을텐데 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