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자 보호 한도 1억원으로 상향,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 2.1%, 내년부터 주택 공급 감소 전망

in #kr27 days ago

2024-11-26.webp

예금자 보호 한도 1억원으로 상향,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 2.1%, 내년부터 주택 공급 감소 전망

2024-11-26 오늘의 날씨와 경제
전국 곳곳에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오후부터는 눈이 내리는 곳도 있겠습니다. 내일 서울의 아침 최저기온은 1도로 급격히 추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1. 트럼프 당선인이 재무부 장관 후보자로 월가 출신인 스콧 베센트를 지명한 가운데 뉴욕증시 주요지수가 일제히 상승했습니다. 투자자들은 그가 증시를 부양할 적임자라고 평가하는 분위기입니다. 또 새 정부 경제정책의 우려점인 극단적인 보호주의 정책도 완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S&P500 5,987.37(+0.30%), 다우 44,736.57(+0.99%), 나스닥 19,054.84(+0.27%), WTI 68.94(-3.23%), 달러인덱스 107.55(+0.54%), 금 2,618.50(-3.45%), VIX 14.60(-4.20%), 비트코인 130,610,000원

  2. 여야가 예금자 보호 한도를 현행 5천만원에서 1억원으로 상향하는 데 합의하면서 시행 시기가 관건으로 떠올랐습니다. 예금자 보호 한도가 오르면 저축은행 등 2금융권으로 자금 쏠림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 등을 감안해 내년 중 시행하되,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구체적인 시행 시기는 금융당국에 재량권을 부여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3. 국책 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이 건설 투자 부진 지속에도, 반도체 등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며 내년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2.1%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 산업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공약한 10~20%의 보편관세가 실제로 부과될 경우 한국의 대미수출이 8.4~14.0%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는데요. 이 여파로 한국의 내년 경제 성장률도 약 0.1~0.2%P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4. 내년부터 수도권을 시작으로 주택 공급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지난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주택공급시장(아파트·비아파트 포함)에는 연평균 42만9000가구가 준공됐습니다. 문제는 2022년부터 주택 착공 실적이 감소한 데다 수도권 아파트 작년 착공물량은 10만 가구에 불과해 공급 감소세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5. 이스라엘과 레바논 무장 정파 헤즈볼라가 휴전에 합의했다고 미국 매체 악시오스가 미국 고위 당국자들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해당 당국자는 "이스라엘 안보 내각이 26일 이 합의를 승인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는데요. 앞서 악시오스는 양측이 60일간 과도기를 갖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휴전안에 합의하기 직전이라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6. 제29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가 막을 내렸습니다. 선진국들이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재원으로 2035년까지 해마다 최소 3000억달러(약 421조 원)를 마련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재원 규모를 두고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이 강하게 부딪쳐 원래 예정됐던 일정보다 이틀이나 늦게 폐막했습니다.

  7. 엑스(X, 옛 트위터)의 대항마로 떠오른 블루스카이의 성장세가 무섭습니다. 서비스를 시작한 지 9개월 만에 가입자 수가 2천만 명을 돌파했는데요. 일론 머스크가 인수한 엑스를 등지고 블루스카이로 이동하는 이용자가 늘어났습니다. 블루스카이는 트위터 사내 프로젝트로 시작해 2021년에 독립한 플랫폼입니다.

  8. 국내 중소기업들이 외국인 근로자 1명을 고용하기 위해 한달에 평균 302만4000원을 지출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는 외국인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숙식비를 포함한 수치인데, 해당 조사에 응답한 기업들의 57.7%는 이 때문에 실질적인 외국인 근로자 고용 비용이 내국인 근로자 고용 비용보다 더 높다고 답했습니다.

  9. LG그룹과 SK그룹을 비롯한 국내 대기업이 중국 사업 철수에 속도를 높입니다. 지난 2017년 사드 사태 이후 한중 관계가 악화한 상황에서, 중국 기업의 경쟁력과 자국 소비 현상까지 뚜렷해져 중국에서의 사업이 활황을 보이지 못했는데요. 삼성, 현대차, LG, 롯데 등 국내 대기업이 중국 사업을 매각하는 데 이어, 중국 시장에 앞다퉈 진출했던 미국 기업도 중국 내 사업을 철수하거나 규모를 축소하고 있습니다.

#예금자보호한도 #1억원 #경제성장률 #주택공급 #주택착공실적 #이스라엘 #헤즈볼라 #휴전 #기후변화협약 #COP29 #블루스카이 #외국인근로자 #LG #SK #중국사업철수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25
JST 0.038
BTC 96483.87
ETH 3356.14
USDT 1.00
SBD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