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DEV]다시시작하는 Swift - 5
안녕하세요! @geunwoong0624 Decoy입니다.
오늘은 어제 말씀드린대로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산자의 경우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 기호, 예시, 내용 일텐데요
설명을 할때 기호 : 예시 : 내용 으로 작성하겠습니다 내용을 읽으실때 참고해주세요!
그럼 시작합니다
-
산술연산자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연산자로써 흔히 사용하는 사칙연산이 이에 해당합니다.
- + : A+B : A와 B를 더함 =>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쓴다고 할 수 있는 덧셈입니다.
- - : A-B : A와 B를 뺌 => 그다음으로 많이 쓰는 뺄셈입니다.
- * : A*B : A와 B를 곱함 => 아마 곱하기가 없는 세상은 사칙연산에 있어 노가다의 현장일 것입니다.
- / : A/B : A와 B를 나눔 => 나누기의 경우 일반적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집니다. 일반적인 경우 A와 B 를 나누면 되는데요 이때 A 와 B가 정수면 A와B를 나눈 몫을 의미합니다.
- % : A%B : A와 B를 나눈 나머지 => %연산자는 잘 못보던 연산자입니다. /의 경우에서 정수일 경우 몫을 의미 한다고 했는데요 %의 경우에는 그반대입니다. A와B가 정수일때 A와B를 나눈 나머지를 의미합니다. 또한 나머지가 존재해야하므로 %연산자는 정수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 - : -A : 값의 부호를 바꾼다 => " - "의 경우 앞에서 나왔는데 왜 다시 설명되어있을까요? 이것은 빼기의 의미가 아닌 부호의 바뀜 입니다. 세상에는 크게 양수와 음수로 숫자가 나뉩니다. 이때 음수를 표현하기 위한 " - " 부호 또한 연산자입니다.
-
비교연산자
두 가지를 비교합니다. 이때 결과값은 true 와 false 둘중 하나의 값으로 나옵니다.
- < : a<b : a가 b보다 작은지 => 기준이 되는 값은 a로 a가 b보다 작다, 아니다 입니다. 아니다의 경우 같다와 크다 두 경우가 있겠네요
- > : a>b : a가 b보다 큰지 => 이 또한 기준은 a로 a가 b보다 크다, 아니다 입니다. 역시 아니다의 경우 같다와 크다 의 경우가 있습니다.
- <= : a<=b : a가 b보다 작거나 같은지 => a가 b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비교 합니다. 이때 주의 하실점은 " < "가 " = " 보다 앞에 온다는 점입니다.
- >= : a>=b : a가 b보다 큰거나 같은지 => a가 b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비교 합니다. 이때 주의 하실점은 " > "가 " = " 보다 앞에 온다는 점입니다.
- == : a==b : a와 b가 같은지 => 보통 같다를 " = " 생각합니다. 그러나 프로그래밍에서 " = " 는 대입연산자라고 다른 연산자로 취급 됩니다. 그러므로 같다를 의미 할때는 " == "을 사용해야합니다.
- != : a!=b : a와 b가 다른지 => 보통 사용하는 다르다의 기호는 " ≠ "입니다. 이때 제가 말했다싶이 " ≠ "는 기호입니다. 이를 연산자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다르다는 가능을 하는 연산자는 " != "입니다.
-
논리연산자
논리연산자의 결과값은 true / false로 비교연산자와 결과값이 같습니다. 다만 논리연산자는 변수의 값이 아닌 변수는 논리값을 가지고 연산을 합니다.
- ! : !a : A의 논리값의 반대값 => 만약 A의 논리값이 true라면 !A는 false가 됩니다. 만약 false 라면 그반대인 true가 됩니다.
- && : a&&b : A와B모두 true일때 A&&B는 true이고 그외 나머지는 false입니다.
- || : a || b : A와B모두 false일때 A || B는 false이고 그외 나머지는 true입니다.
-
범위연산자
이름에 맞게 범위를 나타내는데요 범위연산자는 Swift에서 존재하는 특별한 연산자입니다.
- … : a…b : 닫힌 범위 연산자라는 것입니다. 이는 a에서 시작하여 b를 포함한 범위 까지 라는 의미입니다.
- ..< : a..<b : 이것은 반닫힌 범위 연산자 입니다. 반닫힌 범위 연산자의 경우는 a에서 시작하여 b전까지 라는 의미입니다.
-
대입연산자
변수에 값을 저장할때 사용합니다. 단순히 저장을 하는것부터 저장과 연산을 동시에 하는 것 까지 가능합니다.
- = : a=1 : a에 1을 저장 => 앞서 얘기한 비교연산자 " == " 에서 " = "에 대한 얘기를 조금 했습니다. 프로그래밍에서는 " = " 는 특정변수에 값을 저장한다는 의미로써 사용됩니다.
- += : a+=1 : a=a+1 : a에 a+1을 저장 => 앞서 설명드릴때와 달리 하나가 더 추가 되었습니다. 대입연산자 설명에서 단순히 저장 뿐 아니라 연산을 동시에 할수도 있다고 했습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 += "의 경우는 + 와 = 이 합쳐진 것입니다.
- -= : a-=1 : a=a-1 : a에 a-1을 저장 => " -= "은 - 와 = 이 합쳐진 것으로 a의 값을 1감소 시킵니다.
- *= : a*=1 : a=a*1 : a에 a*1을 저장 => " *= "은 * 와 = 이 합쳐진 것으로 a의 값에 1을 곱합니다.
- /= : a/=1 : a=a/1 : a에 a/1(정수,실수 가능)을 저장 => " /= "은 / 와 = 이 합쳐진 것으로 a의 값에 실수일 경우 나눈값을 정수일 경우 나눈 몫을 저장합니다
- %= : a%=1 : a=a%1 : a에 a%1(정수만 가능)을 저장 => " %= "은 % 와 = 이 합쳐진 것으로 a의 값에 1을 나눈 나머지를 저장합니다.
![](https://steemitimages.com/DQmTmweBU1w7pb15rq9T2Kome4KBvkRh64NkMmVk1HW9aPy/1%EB%B2%88.png)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steemitimages.com/DQmTJZSX5Emrpuuuw64coTGWrZHuDwJK3dezkijKGEJ5skC/2%EB%B2%88.png)
![](https://steemitimages.com/DQmXRrw9Hr2hHdSNCqZVK28W2afxPmHihZWXnLc64zqVSVi/3%EB%B2%88.png)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steemitimages.com/DQmfJh3F4nCJwCoFgSRuULRqmT2M1VHHZsfgvJo7rKGQjES/4%EB%B2%88.png)
![](https://steemitimages.com/DQmRKqDWLeaKUaJ7gmPZxFd4gEbdWi32bySCUcRaLGvmoRP/5%EB%B2%88.png)
오늘은 연산자에 대해 포스팅을 했습니다.
연산자의 경우 프로그래밍을 하는데 있어 절대 빠질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고
일반적으로 생각하는것과 조금 다른 부분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공부를 하시고 넘어가셔야 합니다.
다음은 흐름제어구문 중 하나인 반복문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선 100일만 1일 1포스팅 버텨 보세요
[Ourselves 캠페인]
셀프보팅을 하지 않고 글을 올리시고
ourselves 테그를 달아 주시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긴 젓가락으로 서로 먹여주는 천국이 이뤄지지 않을까요?
Upvoted ☝ Have a great day!
Thank you for your upvote :)
요즘 정말 많은 분들이 짱짱맨 태그를 사용해주시네요^^
행복한 스티밋 ! 즐거운 스티밋! 화이팅~~
감사합니다!!! 즐거운 스티밋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