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학 해설] 대립유전자의 우성관계(완전우성, 불완전우성, 공우성)

in #kr-agriculture7 years ago (edited)

상동염색체의 같은 물리적 위치에 존재하는 유전자인 대립유전자 사이의 우성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성동형접합체와 열성동형접합체를 양친(P)로 하여 교배하면

이형접합체(F1)의 표현형은 보통 3가지 유형으로 나옵니다.

완전우성(complete dominance)

이형접합체에서 우성형질만 나타납니다. 멘델의 교배실험에서 둥근 종자와 주름진 종자의 실험은 모두 완전우성입니다. F1에서는 모두 우성 형질만 나옵니다. F2의 표현형은 우성 : 열성 3 : 1로 분리됩니다.

P: 둥근 종자(WW) x 주름진 종자(ww)
F1: 둥근 종자(Ww)
F2: 둥근종자(WW, Ww) : ww = 3 : 1

불완전우성(incomplete dominance)

이형접합체에 양친의 중간 형질을 나타냅니다. F1은 양친의 중간 형질을 나타냅니다. 양친이 붉은색과 흰색이면 F1은 분홍색이 나타납니다. F2는 1 : 2 : 1로 분리됩니다. 코스모스, 금어초, 분꽃의 꽃 색깔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덕분에 다양하고 아름다운 꽃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Antirrhinum_majus_Snapdragon_დევისპირა.jpg
금어초, 출처: 위키백과


분꽃, 출처: 위키백과

Cosmos_bipinnatus_(2).jpg
코스모스, 출처: 위키백과

공우성(codominance)

F1 이형접합체에 두 대립유전자의 특성이 모두 나타납니다. 불완전우성과 마찬가지로 F2는 1:2:1로 분리됩니다.

아이소자임(isozyme)은 같은 개체 속의 대사반응에서 같은 효소 반응을 하지만 화학적으로는 상이한 효소입니다. 위키백과

OSC_Microbio_07_04_proteinstr.jpg
출처: 위키백과

효소는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데, 중간에 아미노산 한 두개가 비슷한 아미노산으로 바뀌어도 효소의 기능이 망가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공우성을 나타냅니다. 사람의MN 혈액형(MNS antigen system 중 the MN blood group)도 공우성에 해당됩니다.


향문사 재배학을 해설하고 있습니다. 94 P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Sort:  

(jjangjjangman 태그 사용시 댓글을 남깁니다.)
호출에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스티밋하세요!

Coin Marketplace

STEEM 0.21
TRX 0.25
JST 0.040
BTC 98656.44
ETH 3524.63
USDT 1.00
SBD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