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 EOSIO DApp 개발 – 'EOS.IO Storage 백서 읽기' 시리즈 5.Economics of EOS.IO Storage

in #eos6 years ago (edited)

Economics of EOS.IO Storage

There is no such thing as a free lunch, so who is actually paying for the storage and bandwidth provided by the block producers?

공짜 점심은 없다는 말이 있지. 그렇다면 블록 생산자가 제공하는 저장소와 대역폭에 대해 누가 실제로 지불하는 것일까?

Existing decentralized solutions all rely on monthly micropayments, but this is likely not sustainable as it creates an ever-growing base load of transfers and is difficult to automate without trusting a 3rd party with ability to make payments on your behalf. Furthermore, micropayments create transactional friction which discourages adoption. In practice we typically see strong consumer resistance to micropayments in favor of flat fee or one-time payments.

대부분의 오늘날 탈중앙화 솔루션들은 매달 지불되는 소액결제에 의존하고 있어.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전송부하를 발생시키고, 대신 지불할 능력을 갖춘 제 3자에 대한 신뢰 없이 자동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속 가능해 보이지는 않아. 게다가 소액결제에 대해 소비자들은 강한 저항을 보여.

결론적으로 누군가 저장소와 대역폭에 대한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데 소액결제 방식은 안 된다는 거지.

Storage Economics

With EOS.IO Storage all TOK holders will be paying for this via a portion of the 5% EOS.IO annual inflation. More specifically, those who will be storing files are exposed to this supply inflation as they are unable to sell their TOK until they delete their files. Those who require permanent storage effectively burn their TOK. As long as the rate of new storage requests is locking up TOK faster than the TOK inflation rate, then the TOK currency will undergo effective
monetary deflation. This will in turn increase the value of the TOK paid to block producers and enables them to expand the supply of storage.

EOS.IO에서는 매년 5%의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키는데 이 인플레이션의 일부를 통해 비용을 지불할거야.
*토큰 홀더들은 저장소와 대역폭을 사용하기 위해 토큰을 예치하는데, 예치된 토큰은 유통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유통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어. 유통량이 줄어들면 토큰의 가치가 상승할거고 토큰 보상을 받은 블록 생산자는 이를 통해 저장소를 늘릴 수 있게 될 거야.

In the event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duction in storage demand, unlocked TOK may enter the market causing effective price inflation in excess of the natural inflation. In other words, the price of TOKs may fall and the amount of storage block producers can afford to maintain will decrease. Fortunately, due to the lower demand, producers can simply decommission drives to cut costs and reduce the available capacity. Alternatively, they could lower the reserve ratio used to calculate the number of TOKs that must be locked up to reserve storage capacity.

저장소 수요가 감소하면 그 만큼 토큰들은 예치가 해제되고 시장에 유통되는 토큰은 많아지겠지. 그에 따라 자연적으로 토큰의 가치는 떨어지게 될거고 블록 생산자들은 그에 따라 유지할 저장소를 줄이겠지.
저장소 수요가 감소할 때 생각할 수 있는 또 다른 대안은 저장용량 확보를 위해 예치해야 하는 토큰의 개수를 계산하는데 사용하는 준비율을 낮추는 것이지.

The bottom line is that those who require storage pay for it via the time-value of money. This should result in no micropayments, no transactional friction, and no surprise fees.

결론은 저장소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돈의 시간-가치를 통해 지불하도록 한다는 거지. 이렇게 해서 소액결제나 거래 장벽이나 예상치 못한 수수료를 없앨 수 있어.

Bandwidth Economics

A person who uploads and stores a file is likely very different from the individual who would download the file. Consider the example of a decentralized variant of YouTube. In this example someone uploads a home movie which is then viewed by millions of people. The publisher of the video does not want to or is unable to pay for the bandwidth consumption of a million viewers.

대부부의 경우 파일을 업로드하는 사람과 다운로드 하는 사람은 같지 않을거야. 유투브를 예로 들면 누군가 집에서 찍은 영상을 올리면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이를 보게 될거야. 이때 영상을 올린 사람은 수백만 시청자에 달하는 대역폭 비용을 내고 싶지 않고 낼 수도 없겠지.

In this situation, it would be ideal for each individual to pay for their own bandwidth. Once again this is a situation where micropayments are not a viable solution because the cost of the transaction (mental and network) becomes an effective paywall that will hinder adoption. That being said, it should be entirely reasonable for all users to lock up enough TOK to permanently cover all of their average individual bandwidth needs without feeling like they are being charged per view.

이런 상황이라면 각 개인들이 대역폭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이상적이겠지. 하지만 이런 소액결제 방식은 실패할 거라는 것을 우리는 이미 앞에서 살펴보았지.
하지만 토큰을 예치하도록 방식을 사용한다면? 합리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 정말 그럴 것인지는 해 봐야 알겠지. 완전히 와 닿는 방식은 아니야.

In addition to giving all users with TOK bandwidth, the block producers can offer a freemium service to all internet users that is subsidized by the TOK holders via inflation. It would be up to each block producer to determine how much free service it will offer to anonymous internet browsers, and it would be up to TOK holders to determine which block producers to vote for and how much to pay them.

이 방식 외에도 블록 생산자가 익명 사용자들에게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도 있을 수 있지. 이 방법이 되어야 성공할 것 같은데.

In addition, the individual who uploads the file may choose to subsidize the bandwidth of those downloading it, e.g. a film studio distributing a movie trailer.

파일을 업로드하는 사람이 다운로드 하는 사람들의 대역폭 비용을 감당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어. 예를 들어 영화 제작사가 예고편을 배포하는 것과 같은 경우이지. *이런 경우라면 그럴 수도 있을 듯. 좀 복잡해 지는 경향이 싫기는 하지만. *

Coin Marketplace

STEEM 0.23
TRX 0.28
JST 0.042
BTC 104956.85
ETH 3880.98
SBD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