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소사(.8)
2001
연극 품바
의 작가 겸 연출가 김시라씨 사망
연극연출가이자 극작가 겸 시인이다. 광주민주화 운동의 참혹성을 바탕으로《품바》를 만들어 1998년까지 총 4,000회의 공연을 가질 정도로 국민들의 사랑을 받았다. 전라남도 무안에서 출생하였다. 본명은 김천동(金千童)이다. 한영신학대학을 졸업하고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에서 수학하였다.
1998
노벨문학상 수상한 할도르 락스네스 사망
아이슬란드의 소설가로 아이슬란드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였다. 대표작은 《독립한 민중》,《아이슬란드의 종》이다. 간결하고 힘찬 고대 사가 스타일을 현대문에 잘 재현하였다. 1902년 4월 23일 레이캬비크에서 출생하였다. 1919년 첫 작품 《자연의 아들 Barn:Nāttúrunnar》을 출판하였는데, 이것은 K.함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룩셈부르크의 수도원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하였으나 마음의 평화를 얻을 수 없어 아이슬란드·캐나다·캘리포니아 등지를 여행하면서 보냈다. 초기의 작품으로는 자서전이라고 할 만한 《카슈미르의 대직조공 Vefarinn mikli frá Kasmír》(1927), 에세이 《민중의 책》(1929), 미국 체류 중 처음에 영화 시나리오로 쓰여졌던 것을 수정·가필한 《살카 발카 Salka Valka》(2권, 1931∼1932) 등이 있다. 그러나 최대의 걸작은 장편소설 《독립한 민중 Sjálfstætt Fólk》(2권, 1934∼1935), 역사소설 3부작 《아이슬란드의 종》(1942∼1946)이다.
1996
비날론
개발한 월북 화학자 이승기 박사 사망
북한의 과학자·교육가. 1939년 합성섬유 제1호를 완성하여 한국 최초의 공학박사가 되었다. 1950년 월북하였다. 석탄에서 뽑아내는 합성섬유인 비날론(Vinalon)을 개발하여 북한의 섬유부족문제를 해결하였다. 북한의 화학공업과 경공업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 1905년 10월1일 전라남도 담양에서 태어났다.
1987
귀순 김만철 일가 김포공항 도착
1987년 2월 8일 북한의 김만철(金萬鐵) 일가 11명이 북한을 탈출해 한국으로 귀순한 일. 1987년 1월 15일 새벽 1시에 북한의 청진의과대학 병원에서 의사로 일하던 김만철(金萬鐵) 일가 11명이 청진항에서 50t급 청진호를 타고 북한을 탈출해 일본·타이완을 거쳐 25일 만인 2월 8일 한국으로 귀순한 일을 말한다....
1961
한미경제원조협정 조인
1961년 2월 8일 한국대표 외무부장관과 미국대표 주한미국대사 간에 각서교환으로 체결, 2월 28일에 발효된 한미 경제기술원조협정. 정식명칭은 '대한민국과 미합중국 간의 경제기술 원조협정'으로, 미국 정부가 한국정부에 공여하는 경제 및 기술원조에 적용될 양해사항을 규정한 협정이다.
1955
소련 수상 말렌코프 실각 후임에 불가닌 취임
소련의 정치가. 볼셰비키당에 입당하고, 후에 체카(Cheka:비상위원회)와 국민경제최고회의에서 활동했으며 모스크바 시 소비에트 의장, 러시아공화국 인민위원회 의장, 원수, 국방장관, 수상 등을 지냈다.
1944
이두-향가 연구의 개척자인 일본의 오구라 신페이 사망
일본의 언어학자로 이두(吏讀)를 해독한 최초의 일본인 학자이다. 경성제국대학, 도쿄제국대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고대조선어·조선어방언 연구 등을 통해 조선어학 발전에 기여하였다. 저서는《향가 및 이두의 연구》,《증정 조선어학사》등이다.
1931
미국 영화배우 제임스 딘 출생
미국의 영화배우로 《에덴의 동쪽》, 《이유없는 반항》, 《자이언트》 등에 연이어 출연하며 큰 인기를 얻었으나, 교통사고로 짧은 영화인생을 마감하였다. 인디애나주(州)에서 출생하였다. E.카잔이 창립한 배우양성소 액터스스튜디오를 마치고 곧 무대에 데뷔하였다.
1919
2·8독립선언
1919년 2월 8일 일본 도쿄[東京]에서 재일 유학생이 발표한 독립선언. 제1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함께 미국 대통령 T.W.윌슨이 제창한 민족자결주의가 계기가 되었고, 직접적으로는 1918년 12월 15일자 《The Japan Advertizer》에서 재미 한국인들이 한국인의 독립운동에 대한 미국의 원조를 요청하는 청원서를 미국 정부에 제출하였다는 보도와, 12월 18일자에 파리강화회의 및 국제연맹에서 한국을 비롯한 약소민족대표들의 발언권을 인정해야 된다고 하는 보도에 접한 재일 유학생들 사이에서 독립운동의 분위기가 높아졌다.
1904
일본함대가 뤼순군항을 기습공격함으로써 러일전쟁 발발
1904∼1905년에 만주와 한국의 지배권을 두고 러시아와 일본이 벌인 전쟁. 1904년 2월 8일에 일본함대가 뤼순군항[旅順軍港]을 기습공격함으로써 시작되어, 1905년 9월 5일에 강화를 하게 된 러시아와 일본 간의 전쟁이다.
1883
미국 경제학자 슘페터 출생
오스트리아 출신의 미국 이론경제학자. 경기순환에 관한 이론과 역사 ·통계의 종합적 성과인 《경기순환론》을 저술하였으며 케인스와 더불어 20세기 전반의 대표적 경제학자로 평가된다. 오스트리아 출생. 부유한 직물제조업자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편모 밑에서 자랐다.
1828
프랑스 작가 베른 출생
19세기 프랑스의 소설가로 근대 SF(공상과학소설)의 선구자이다. 저서는《기구를 타고 5주일》외, 대표작《해저 2만 마일》,《80일간의 세계일주》(1873) 등이다.《20세기 파리》는 미래를 정확히 묘사한 선구적 소설이다. 항구도시 낭트 출생. 처음에는 법률을 공부하였으나, 문학을 동경하여 희극과 희가극을 썼다.
1725
러시아의 차르, 황제 표트르 1세 사망
러시아 로마노프왕조 제4대의 황제(재위 1682∼1725). 터키의 요새 아조프를 공격, 차지하였고 총병대(銃兵隊)의 반란 진압을 계기로 러시아의 모든 관습 ·풍속에 일대개혁을 단행하였다. 스웨덴과 북방전쟁을 벌여 잉그리아 ·에스토니아 ·리보니아 등을 손에 넣었다.
1572
조선 중기의 사상가 남명 조식 선생 사망
조선 중기 학자. 철저한 절제로 일관하여 불의와 타협하지 않았으며, 당시의 사회현실과 정치적 모순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비판의 자세를 견지하였다. 단계적이고 실천적인 학문방법을 주장하였으며 제자들에게도 그대로 이어져 경상우도의 특징적인 학풍을 이루었다.
1425
황희 사망
조선 초 세종 대의 재상. 18년간 영의정에 재임하여 세종의 가장 신임받는 재상으로 명성이 높았다. 인품이 원만하고 청렴하여 존경 받았으며, 시문에도 뛰어났다. 1363년 자헌대부 판강릉대도호부사(判江陵大都護府使) 황군서(黃君瑞)의 아들로 개성(開城)에서 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