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소사(2.9)
2018
제23회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
2018년 2월 9일부터 2월 25일까지 대한민국의 강원도 평창군에서 열렸던 동계올림픽대회이다. 90여 개국에서 2,900여 명의 선수들이 참가하였다. 개최지인 평창군의 명칭을 따서 평창동계올림픽이라 통칭한다. 대한민국의 강원도 평창군은 2011년 7월 6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더반에서 열린 제123차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독일의 뮌헨, 프랑스의 안시와 경쟁 끝에 제23회 동계올림픽경기대회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평창군은 2003년과 2007년에 이은 세 번째의 도전 끝에 1차 투표에서 과반수가 넘는 63표(총 95표)를 득표하여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이로써 한국은 1988년 하계올림픽에 이어 30년 만에 두 번째로 올림픽경기대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1999
빈민운동가 제정구 의원 사망
빈민 운동가이자 정치가이다. 경기도 시흥시에 복음자리 마을을 세웠으며 빈민촌 강제철거에 맞서 투쟁하였다. 1986년 정일우 신부와 함께 막사이사이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저서로는 《가짐 없는 큰 자유》등이 있다. 경상남도 고성군 대가면 유흥리에서 태어나 대흥초등학교와 중학교, 진주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96
윤치영 전 공화당 당의장 사망
한국 정치가. 제1·2·3·6·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초대 내무장관·대한국민당 당수·민주공화당 의장 등을 지냈다. 1963년에는 박정희 최고희의 의장을 공화당 대통령후보로 지명, 민정에 참여하게 했다.
1989
우주소년 아톰
의 제작자, 만화가 데즈카 오사무 사망
일본 애니메이션의 아버지·신 이라고 불리는 일본의 만화가. 다양한 소재와 왕성한 작품 활동으로 일본 만화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올려 놓았으나 지나친 상업화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일본에서 '만화의 아버지' 또는 '신(神)'으로 일컬어지는 인물이다.
1984
유리 안드로포프 소련공산당 서기장 사망
러시아의 정치가로 소련공산당 중앙위원과 당 정치국원, 공산당서기장 등을 거쳐 최고회의 간부회 의장이 되었고 7개월 만의 1인체제 구축이라는 신화를 만들었다. 나구초코예에서 출생했다. 철도원의 아들로 태어나, 1935년 수운(水運)기술전문학교와 페트로자보드스크 주립대학 및 당 간부학교를 졸업하였다.
1967
한미행정협정(SOFA) 발효
1966년 7월 9일 서울에서 한국정부 대표 외무부장관과 미국정부 대표 국무장관 간에 조인되어, 1967년 2월 9일에 발효된 협정. 정식 명칭은 ‘대한민국과 아메리카 합중국 간의 상호방위조약 제4조에 의한 시설과 구역 및 대한민국에서의 합중국 군대의 지위에 관한 협정’이다. 즉, 주한 미군에 관한 한·미 간의 협정이다.
1960
자장가 변주곡
으로 유명한 피아니스트 도흐나니 사망
헝가리 태생의 미국 피아노 연주자, 작곡가, 지휘자. 작풍은 후기낭만파적이며, 양식상으로는 보수적이었다. 폭넓게 여행하여 당대 가장 뛰어난 피아니스트의 한 사람으로 명성을 확립했다. 헝가리 포즈쇼니(Pozsony)에서 태어났다. 에른스트 폰 도흐나니(Ernst von Dohnanyi)라고도 한다.
1943
미국, 주48시간 근무제 실시
즉 1일 8시간제의 노동제도이다. 일찍이 봉건영주나 대지주 밑에서 무제한 노동을 강요당하던 노동자들이 1870년 이래 매년 5월 1일 메이 데이(노동절)를 기하여 1일 8시간제 노동의 제도화를 요구하여왔는데, 제1차 세계대전 후의 제1회 국제노동회의에서 이 제도가 세계적으로 승인되고 베르사유조약에서 규정됨으로써 일요일 유급휴일제가 시작되었다. 그 후 산업의 발달과 노동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48시간제에서 44시간제, 42시간제, 40시간제로까지 줄어들고 있다.
1881
도스토옙스키 사망
러시아의 소설가.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문호로, 소설가·비평가·사상가였다. ‘넋의 리얼리즘’이라 불리는 독자적인 방법으로 정치적·사회적으로 복잡화된 인간의 내면 심리를 그려내었다. 구질서가 무너지고 자본주의가 들어서는 과도기 러시아의 시대적 모순을 작품에 투영하였으며, 20세기의 사상과 문학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대표작으로 《지하생활자의 수기》(1864), 《죄와 벌》(1866), 《백치》(1868), 《악령》(1871∼1872), 《카라마조프의 형제들》(1879∼1880) 등이 있다.
1874
프랑스 역사가 쥘 미슐레 사망
프랑스의 역사가로 국립 고문서보존소 역사부장, 파리대학 교수,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를 역임하였다. 역사에서 지리적 환경의 영향을 중시하고 민중의 입장에서 반동적 세력에 저항하였다.
1865
독일 지리학자 드리갈스키 출생
독일의 지질학자 ·극지탐험가. 쾨니히스베르크 출생. 베를린대학 ·뮌헨대학의 교수를 지냈다. 1891년 그린란드 서부인 키라야크스아이스표르드의 탐험대를 지휘하였고, 1901∼1903년 독일의 남극탐험을 지휘하여, 현재의 카이저빌헴름 2세 란트에 도착하였다.
1773
윌리엄 헨리 해리슨 미국 제9대 대통령 출생
미국의 정치가, 제9대 대통령(재임 1841.3.4∼1841.4.4). 노스웨스트 준주(准州) 행정관, 인디애나 준주의 주지사에 임명되었고, 연방 하원의원, 연방 상원의원 역임 후 1840년 대통령선거에 휘그당(黨)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나 취임 1개월 만에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1614
영창대군 사망
조선 선조의 14왕자 중 13번째 왕자이며 인목왕후의 소생이다.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자 서인(庶人)으로 강등되고 만 8세의 나이에 강화부사(江華府使) 정항(鄭沆)의 손에 죽음을 당했다.
이름은 의(㼁)이고, 인목왕후(仁穆王后)의 소생이다. 선조의 14명 왕자 중 13번째 왕자이며, 유일한 정궁(正宮)의 자식이어서 선조는 이미 세자(世子)로 책봉한 광해군(光海君) 대신 영창대군을 왕세자로 책봉할 것을 영의정 유영경(柳永慶) 등과 비밀리에 의논하였다. 그러나 선조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고 이이첨 등을 등용하였다. 대북파(大北派)의 농간으로 형 임해군(臨海君)을 죽이고 인목대비를 서궁(西宮)에 유폐한 광해군은 인목대비의 아버지 김제남(金悌男)도 죽인다. 이어 영창대군마저 역모 연루죄로 서인(庶人)으로 강등시켜 강화에 위리안치(圍籬安置)하였다. 1614년 만 8세의 어린 나이에 강화부사(江華府使) 정항(鄭沆)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Thank you for sharing on steem! I'm witness fuli, and I've given you a free upvote. If you'd like to support me, please consider voting at https://steemitwallet.com/~witness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