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psychologyUnmoderated tagAll postsTrending CommunitiesSteemitCryptoAcademyNewcomers' Communityআমার বাংলা ব্লগKorea • 한국 • KR • KOSTEEM CN/中文Steem AllianceWORLD OF XPILARAVLE 일상Beauty of CreativityUkraine on SteemSCT.암호화폐.CryptoComunidad LatinaExplore Communities...#kr-psychologyTrendingHotNewPayoutsMutedslowdive14 (63)in #kr-psychology • 3 years ago내가 틀렸다고 말할 수 있는 용기Created: 2022-03-20 이제는 너무나 유명해진 애착이론의 발달에는 여러 연구자와 치료자가 기여했습니다. 그 중 한 명이 Mary Ainsworth의 제자인 Mary Main 입니다. Mary…beoped (72)in #kr-psychology • 3 years agosteemCreated with Sketch.[심리? 과학?]Feeling vs emotion어제 저녁 뇌과학 책(마이클 가자니자의 왜 인간인가?)을 읽다가 재미있는 내용을 발견했다. emotion(감정) 과 feeling(기분)을 구별해야 한다는 것인데, 웃긴거 번역자의 탓인지 저자의 탓인지 중간…slowdive14 (63)modin Steem Book Club • 4 years ago생각에 관한 생각 / 대니얼 카너먼660페이지 정도 되는데 40일 걸렸네요. 노벨경제학상 받은 심리학자가 쓴 글인데 글 자체는 간명하지만 여기 나오는 개념들은 통계적인 부분들이 많아서 상당히 머리 아픕니다. 그래도 꽤 흥미롭게 읽었어요.…slowdive14 (63)modin Steem Book Club • 4 years ago나는 자주 죽고 싶었고, 가끔 정말 살고 싶었다 / 아른힐 레우뱅“..나는 누구인가?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나에게 중요한 것은 무엇이며, 나에게 소중한 사람은 누구일까? 삶에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규칙이 있나? 그중에서 나는 어떤 것을 유지하고 싶어 하나? 내가…slowdive14 (63)modin Steem Book Club • 5 years ago무엇이 인간을 만드는가 / 제롬 케이건"(유아기에 안정 애착 관계에 있었다 하더라도) 스트레스가 더 많은 가정에서 자란 청소년이 불안정 애착 관계로 분류되었다는 것이 놀랄 일은 아니다. 메릴랜드 대학교의 한 연구진도 안정 애착 관계에 있었던 유아와…slowdive14 (63)in #kr-psychology • 5 years agoInsider's Guide to Graduate Programs in Clinical and Counseling Psychology저는 에너지 수준이 낮은 사람입니다. 그럼에도 일을 많이 벌이는데다 일 시작보다 마무리를 더 중시하기 때문에 이변이 없으면 시작한 일은 데드라인을 좀 넘겨서라도 마무리합니다. 올해 벌인 여러 일들 가운데 가장…slowdive14 (63)in #kr-psychology • 5 years ago경계선 성격에 관한 여섯 가지 주요 역사적 개념Kernberg, 1967: 뉴로시스와 싸이코시스의 사이에 있는 성격 구조(personality organization)의 수준으로서의 경계선 성격. Gunderson, 1984: 정신장애가 생물학적 원인을…slowdive14 (63)in #kr-psychology • 5 years ago허리 통증에 대한 오해Mindfulness and Psychotherapy 9장을 읽다가 흥미로운 내용이 있어서 옮겨 옵니다. Let us return to the problem of chronic back pain. Most…slowdive14 (63)modin Steem Book Club • 5 years ago미움받을 용기 / 기시미 이치로, 고가 후미타케5년 전쯤에 이 책의 열풍이 한 번 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각종 매체에서 집중적으로 조명했던 것 같은데, 마케팅 때문인지 책 내용이 사람들에게 많은 울림을 주었던 것인지 알 수 없지만 이 책 다 읽고 나니…slowdive14 (63)modin Steem Book Club • 5 years agoClinical Neuropsychology : A Practical Guide to Assessment and Management for Clinicians (second edition) / Edited by Laura H. Goldstein, Jane E. McNeil이 책이 총 여섯 파트로 이루어져 있는데, 재활에 관한 part 6 빼고 완독했습니다. 작년 9월초부터 장장 8개월이 걸렸습니다. 스터디메이트께 감사드립니다. 혼자서는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이론과 실제를…slowdive14 (63)in #kr-psychology • 5 years ago성격과 증상The thesis or rationale for this text stems from an ancient injunction to physicians: ‘‘Ask not what disease the…slowdive14 (63)modin Steem Book Club • 5 years ago우울할 땐 뇌과학 / 앨릭스 코브누군가 신경과학이 정신건강, 특히 정신건강 증진에 관한 실제적 해법에 어떤 도움이 되느냐고 묻는다면 저는 주저없이 이 책을 읽어보라고 할 것 같습니다. 아 정말.. 굉장히 실용적이면서도 근거가 탄탄한 책입니다.…slowdive14 (63)modin Steem Book Club • 5 years ago애착 / 존 볼비올해 2월2일부터 지금까지 세 달에 걸쳐 읽었습니다. 제가 현재 티스토리 블로그 통해 진행 중인 심리학 및 심리치료 고전 읽기 온라인 스터디의 세 번째 책이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저는 이 책을 읽고…slowdive14 (63)in #kr • 5 years agoclient와 patient의 어원client (n.) late 14c., "one who lives under the patronage of another," from Anglo-French clyent (c. 1300), from…slowdive14 (63)in #kr-psychology • 5 years ago신체화를 통해 바라보는 통증: 몸으로 표현되는 마음의 어려움통증은 그 실제적인 원인이 존재하든 하지 않든 간에 통증에 대한 심리적 해석이 통증의 강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통증의 원인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질 때조차, 그 통증의 organic한 원인이…slowdive14 (63)in #kr-psychology • 5 years ago5 Psychology Terms You’re Probably Misusing방관자 효과와 제노비스 사건에 관해 이번 에피소드 중반쯤까지 길게 이야기함. 뉴욕타임스에 의해 사실이 왜곡돼 인간의 apathetic한 측면만 너무 부각됐다는 내용으로 이해함. (사건이 벌어진 지 40년 뒤에…slowdive14 (63)in #kr-psychology • 5 years ago습관 형성의 기본인간 행동의 절반 정도는 뇌의 자동항법 장치에 의해 움직입니다. 이 자동항법 장치는 변화를 무지무지 싫어합니다. 그래서 습관 형성이 어려운 것이죠. 습관에 관한 책들이 일관되게 말하는 것이 하나 있는데…slowdive14 (63)in #kr-psychology • 5 years ago[Attachment in Psychotherapy] 14. The Unresolved Patient: Healing the Wounds of Trauma and Loss반복된 트라우마로 인해 자기상이나 대인관계 기능 등에 심한 손상을 입은 미해결형 환자와 치료적으로 작업할 때 해리와 투사적 동일시를 어떻게 잘 극복하여 내담자와 안전한 관계를 형성하는가에 관한 가이드를 주는…slowdive14 (63)in #kr • 5 years ago평균과 표준편차, 모델과 모델핏엔지니어가 한강에 새롭게 놓을 다리를 건설하려 하는데, 다리 모양을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지 가늠하기 위해 3D 프린터로 미니어처 다리 모형을 여러 개 설계해서 다양한 환경적 변수를 투입하여 테스트하는…slowdive14 (63)in #kr-psychology • 5 years ago1월 영어공부작년 1월부터 기록하기 시작했는데 다시 1월이 됐네요. 독해는 이번 달도 순항 중입니다. 네 권의 교과서(통계 한 권 포함)와 한 권의 대중서를 읽고 있습니다. 일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책들을 주로 보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