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407] 화수분 전략(하나증권)

지수가 속절없이 조정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럴 때 일수록 학습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것 같습니다.
화수분 전략(하나투자)


미국 국가별 수입액과 발표된 관세를 기준으로 단순하게 계산하면, 관세 수입액은 연간 6,000억 달러 정도된다. 트럼프 대통령 2기 감세 목표액은 향후 10년간 4.5조 달러(1기 10년간 1.5조 달러)다. 재원 마련을 위해 먼저 관세를 발표했다면, 시기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감세 정책이 다음 수순일 수 있다.
경제지표들이 지금보다 다소 더 악화될 경우 연준이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앞당길 가능성도 있다. 2025년 연준 기준금리 인하 횟수는 최근 4회(100bp 인하)로 증가했고, 첫 기준금리 인하 시기는 6월로 꼽고 있다.

->경기지수가 아직은 '08, '20년 금리인하 시기보다는 양호한 편이라 금리인하를 쉽게 예단할 수는 없을 듯 하지만, 중요한 변수는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① 현재 글로벌 유동성은 증가하고 있고, S&P500 기업 이익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그러나 최근 3개월 동안 S&P500지수 PER은 -18%나 급락(PER 18배)했고, 이는 2000년 이후 위기 국면들의 최대 하락률과 비슷한 수준이다. 유동성 축소와 이익 감소 우려를 밸류에이션은 선반영했다.
②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 펜데믹, 2022년 미국 스태그플레이션 등과 같은 위기 탈출 국면에서 매출 성장을 주도했던 업종의 주가 수익률이 가장 높았다.
2025년 매출 증가율 전망치가 높은 미국(반도체, 소프트웨어, 헬스케어/장비)과 국내(조선, 반도체, 헬스케어) 업종은 관심을 가지고 볼 필요

->이익은 견조하고 가격은 내려가고 있으므로 밸류에이션 매력도는 점점 높아져 가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S&P500 12개월 예상 순이익이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가장 긍정적 포인트인 것 같습니다.
->꾸준한 이익성장과 낮은 주가는 PER 밸류를 지속적으로 낮추는 효과를 가지게 되겠습니다.

가장 반등을 주도할 업종으로 매출성장을 주도하는 업종들을 꼽고 있으므로 눈여겨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 하루도 활기찬 하루들 되시기 바랍니다.~

Sort: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37.14242671762858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

Coin Marketplace

STEEM 0.13
TRX 0.25
JST 0.030
BTC 83541.44
ETH 1572.95
USDT 1.00
SBD 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