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326] TDF ETF로 장기 자산배분
TDF 상품의 인기가 식은건지 요즘은 언급하는 기사가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 같습니다.
TDF의 기본 컨셉 자체가 Passive 전략의 유형이라 보여지므로 Active ETF 전성시대를 맞아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떨어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퇴직 전후 노후 자산관리 및 연금수령을 위해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좋은 방법론의 하나라고 여겨집니다.
TDF ETF는 공모 TDF 대비 운용 보수가 낮은 편이다. 2030 은퇴 시점 기준 설정액 상위 10개 공모펀드의 평균 총 보수는 0.48%였으나 ETF의 경우 평균 총 보수는 0.19%에 불과
다만 TDF ETF와 공모 TDF 모두 주식, 채권 실물 자산에 직접 투자하지 않고 주식 ETF, 채권 ETF에 간접 투자하기 때문에 펀드 보수가 이중으로 부과
또한 대부분 TDF가 목표 은퇴 시점(Target Date)이 멀수록 운용 보수가 높다. 시점이 멀수록 주식 비중이 크기 때문
->이와 같은 TDF 상품의 수수료 관련한 내용도 잘 파악해야 할 것 같습니다.
목표 은퇴 시점까지 자산을 운용하는 TDF의 특징은 장기 투자가 전제되어 있는 퇴직연금(IRP, DC형)에 알맞다. 퇴직연금의 경우 위험 자산을 70% 이내로 보유해야 하는데, 2018년 8월부터 적격 TDF에 한해 100% 투자가 가능해졌다. 현재 국내 상장된 5종 ETF의 대부분이 적격 TDF로, 퇴직연금에서 100% 비중으로 투자 가능
->이러 저러한 이유로 TDF는 퇴직연금(IRP, DC형)에 가장 알맞는 상품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현재 5개 자산운용사에서 TDF ETF를 출시했으며, 운용사마다 목표 은퇴 시점을 달리하여 3~4개 TDF ETF를 갖고 있다. 같은 운용사에서 출시된 TDF라면 보유 종목이 대부분 같고 은퇴 시점이 멀수록 위험 자산 비중이 높다.
현재 운용중인 모든 운용사의 TDF 상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KODEX
KODEX의 TDF ETF는 해외 주식과 국내 채권으로 구성된다. 다른 ETF와 달리 미국 주식 비중을 특별히 높이지 않고 전세계 시가총액만큼 투자하는 것이 특징이다. 전세계 주식에서 미국 주식은 약 60%를 차지한다. 채권은 모두 국내 채권이다.
ACE
ACE의 TDF ETF는 목표 은퇴 시점이 2080년도인 TDF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ETF의 위험 자산 비중은 100%에 가깝다. 위험 자산 비중이 높은 ACE 장기자산배분액티브는 퇴직연금 내에서 70%까지 투자 가능하다. ACE ETF의 주식 대부분은 미국 주식이며 위험 자산 중 하나로 금의 비중을 크게 가져가는 것이 특징이다.
RISE
RISE의 TDF ETF는 전세계 ETF 대신 미국, 중국, 일본, 유럽 주식 ETF에 투자한다.
원유를 포함한 대체자산을 갖고 있고, 리츠(안전) 비중을 목표 은퇴 시점에 관계없이 약 8%로 고정한다.
KIWOOM
KIWOOM의 TDF ETF는 다른 ETF와 달리 국내 채권의 비중이 작다. 따라서 환 비중 또한 원화 비중이 작은 편이다. 원자재(대체)를 안전 자산으로 편입하여 목표 은퇴 시점이 다가올수록 비중을 늘리는 점이 특징이다.
PLUS
PLUS의 TDF ETF는 은퇴 시점이 먼(2050, 2060) TDF의 위험 자산 비중을 늘릴 뿐만 아니라 성장주 ETF를 편입시킨 점이 특징이다. S&P500 성장주에 대한 장기 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TIGER
TIGER의 TDF ETF는 해외 주식을 S&P500에 집중한 것이 특징이다. 다른 ETF와 달리 주식 ETF에 간접 투자하지 않고 실물 운용함으로써 이중 보수를 피한다(채권 ETF는 재간접 투자). 오는 3월 25일 상장 예정이다.
->각 운용사마다 특징을 달리하여 운용하고 있음이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특이한 TDF로는 "ACE장기자산배분액티브"로서 2080년을 타겟으로 하여 위험자산 비중을 100% 가까이 유지하며 매년 안전자산의 비중을 높여가는 전략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RISE, KIWOOM 등의 TDF는 안전자산으로 원자재,리츠 등을 편입하고 있는 것이 또한 특이한 점인 것 같습니다.
3.25일 상장된 TIGER TDF의 경우 주식 ETF를 실물 운용함으로써 이중 보수를 피하는 전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각자의 특성에 맞는 TDF를 잘 살펴보고 선택하여 투자하시면 될 것 같고, 패시브의 특성상 자의반 타의반으로 글로벌 경제 성장에 자연스럽게 투자하면서 패시브한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혜택도 있음을 참고하여 투자하시면 좋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활기찬 하루들 되시기 바랍니다.~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36.917278469994066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